《“알파 켄타우리 행성에 가 본 적도 없다니 무슨 소린가? 맙소사, 이 인간들아. 알다시피 그 별은 여기서 4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미안하지만, 너희가 지역 문제에 관심을 가질 정성이 있건 없건, 그건 너희가 알아서 할 일이다. (지구) 철거 광선을 작동하라.”―본문 중에서》
요즘 젊은층이 쓰는 우스개 중에 ‘개념이 안드로메다로 관광 갔다’는 말이 있다. 납득 안 되는 언행을 하는 이에게 조롱하듯 쓰는 말이다. 여기엔 꽤 근사한 반어적 묘미가 숨어 있다.
먼저 농담에 안드로메다가 등장한 걸 되새겨 보자. 인간의 개념이 저 먼 별나라로 향하는 발상의 전환. 그것도 ‘관광 갔다’고 말한다. 이제 우주는 올려다보기만 했던, 현실과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다. 별과 외계는 우리의 생활 속에 자연스레 다가오고 있다.
‘은하수를…’은 이런 자연스러운 현실감이 가득한 SF물이다. 작가가 안드로메다에 진짜로 갔다 온 게 아닐까 싶을 정도다. 첫머리부터 독특하다. 주인공이 자기 집을 철거하려는 불도저 앞에 누워 시위를 벌인다. 관청에서는 미리 공지했던 일이니 이래 봐야 소용없다고 한다.
20여 분 뒤, 모든 지구인이 외계인에게서 비슷한 통지를 받는다. 은하 초공간 고속도로 건설 때문에 지구를 철거하겠단다. 50년 전부터 알파 켄타우리 행성 사무실에 공고했는데 아무런 민원 제기가 없었다며. 지구가 순식간에 산산조각 나는 순간 외계인은 중얼거린다. “인정머리 없는 지구인들 같으니, 동정심도 안 생겨.”
오래전 이 책의 원서를 접했을 때는 SF를 좋아하는데도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표지에 외계인인지 외계 행성인지 모를 것이 ‘메롱’ 하듯 혀를 쑥 내밀고 있었다. ‘도대체 정체가 뭐지’ 하는 의혹이 들었다. 영국의 ‘국민 소설’이자 영미권의 베스트셀러임을 안 건 한참 뒤의 일이다.
‘은하수를…’은 1978년 BBC라디오 SF코미디 연속극으로 시작됐다. 이후 소설 영화 게임 만화 연극 오디오북 등으로 끊임없이 재생산되며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 덩어리를 이뤘다. 기본 구조는 지구 소멸 직전 우주로 탈출한 주인공이 겪는 우주 여행담 형식이다.
내용은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기상천외, 포복절도, 파란만장, 상상폭주, 촌철살인.’ 한마디로 지구인과 사회, 사고방식에 대한 통렬한 풍자와 야유를 온 우주에 흩뿌리고 다닌다.
이 책이 다른 SF와 구별되는 건 상상력의 전개가 자연과학이나 미래 사회과학이 아닌 ‘풍자와 브레인스토밍’이라는 점이다. 방법론으로 구사되는 ‘영국식 농담’도 인상 깊다. 영국 문학은 미국과 차별되는 품격과 절제의 미학이 깃들어 있다. 다양성과 핵심을 포착하는 직관, 반성과 대안적 발상 등에서 심지 곧은 통찰이 배어 있다.
미국 SF는 은연중에 ‘SF적 상상력=자연과학적 상상력’이라는 테두리에 갇히기 쉽다. 그러나 ‘은하수를…’은 그 한계를 깨는 하나의 돌파구로 기능한다. 요즘 시끄러운 일이 많지만 이 책을 읽다 보면 안드로메다 관광에 비견되는 신선한 청량감을 얻게 된다. “더운데 뭐가 재밌어 혼자 낄낄거리나”라는 소리를 들을지도 모르니 그 점은 주의하시길.
박상준 ‘월간 판타스틱’ 편집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