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發) 신용경색과 경기침체 우려의 먹구름이 국내 금융시장에는 주가, 원화가치, 채권가격이 동시에 약세인 ‘트리플 약세 쓰나미’로 몰려오고 있다.
국제유가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달러화 약세의 영향으로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배럴당 110달러를 넘어섰고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으로 달러화는 엔화에 대해 급락세를 보이면서 1995년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90엔대로 내려앉았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시장 전반이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신용경색의 늪으로 빨려 들어가는 모습이다.
미국 정부를 중심으로 신용위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신용위기의 특성상 위기 해소를 위한 근본적인 처방이 어렵다는 점에서 단기 진정대책에 그치고 있다. 실제로 지난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원화로 200조 원에 이르는 대규모의 달러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그 효과는 하루를 넘기지 못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에서 시작된 불안은 그보다 한 등급 높은 얼트-에이(Alt-A) 시장으로 번져나갔고 칼라일캐피털의 파산 우려는 일부 대형 투자은행과 보험사에 대한 파산 우려로까지 확산되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차분히 앉아 생각해 볼 겨를도 없이 급격한 가격조정이 진행되면서 미국발 악재의 위력은 더욱 배가되는 모습이다. 다음 주에 예정된 골드만삭스(18일), 리먼브러더스(18일), 모건스탠리(19일), 베어스턴스(20일) 등 대형 투자은행들의 실적발표와 미국경제지표를 살펴보면 신용경색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신용위기의 지속은 결국 주식시장에서의 단기 변동성 확대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트리플 약세 현상은 좀 더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서브프라임에서 시작된 문제가 끝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한 만큼 근거 없는 루머에 휩쓸릴 필요는 없다.
또한 금융시장 상황이 악화되면 될수록 미국 정부가 제시할 안정대책 강도 또한 강화될 가능성이 높고 FRB의 금리인하 폭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코스피지수 1,600 선 아래에서는 절대적 가격매력이 부각되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추격매도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
양경식 하나대투증권 투자전략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