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들이 음식물쓰레기 수거 및 처리 업무를 전면 중단한 지 10일이 지났으나 양측의 협상에 진전이 없어 사태가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업체는 최근 2∼3년간 처리시설 보강을 위해 상당한 비용을 투자했으나 대구시가 공공처리시설 확충 계획을 추진해 생존권에 위협을 느낀다며 계획 백지화를 요구하며 7일부터 업무를 중단하고 있다.
하지만 대구시는 2013년부터 음식물쓰레기에서 생기는 폐수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돼 공공처리시설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방침을 견지하고 있다.
▽‘공익위해 처리시설 확충’=대구시에 따르면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하루 680t으로 이 중 업체가 처리하는 물량(78%)을 제외하고 시가 처리하는 것은 22%(150t)에 불과하다.
대구의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비율(22%)은 전국 평균(33%)과 환경부 권장 기준(60%)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대구시는 현재 지역 구군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업체에 처리비로 t당 7만 원을 주고 있으나 해양 투기가 금지되는 2013년에는 t당 처리비가 12만∼13만 원으로 지금보다 비용이 80%가량 올라갈 것으로 추산돼 시민 부담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에 2011년 7월까지 대구 서구 상리동 달서천 위생처리장에 하루 300t 처리 규모의 처리장을 지어 처리 비용 인상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700억 원(국비 280억 원, 민자 42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생존권 보장해야’=지역 13개 처리업체는 대구시가 공공처리시설을 증설할 경우 처리 물량이 현재의 40%(하루 평균 270t) 정도로 크게 줄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지역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이 가동되는 2011년 하반기에는 13개 업체 중 절반가량이 문을 닫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업체는 또 국토해양부가 지난해 음식물쓰레기 폐수의 해양 투기 기준을 수분함유율 92%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는 바람에 시설 보완을 위해 업체당 수억 원을 투자했다며 공공처리시설 증설로 3년 후 처리물량이 줄면 시설 투자비만 날리게 되는 셈이라고 강조했다.
▽타협점은 없나=업체 대표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지금까지 수차례 협상을 벌였으나 견해차가 워낙 커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사태의 조기 해결을 위한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는다며 고민하고 있다.
대구경실련 조광현 사무처장은 “대구시와 업체들의 주장에 나름대로 일리가 있어 중재하기가 쉽지 않다”며 “대구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시민단체 대표들과 모임을 열고 중재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용균 기자 cavati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