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은퇴후 소득이 은퇴직전 소득의 41%

입력 | 2008-07-01 18:49:00


한국의 일반적인 가장의 은퇴 후 국민연금, 퇴직금 등을 통해 얻는 소득은 은퇴 직전에 벌던 연봉의 4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이고 홍콩 대만 등보다 낮은 것이다.

다국적 피델리티자산운용은 서울대 은퇴설계지원센터 공동으로 '한국의 은퇴준비지수 계산 모델'을 연구한 결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1일 밝혔다.

조사 결과 한국의 전체 도시 근로자 가구(농,어촌 제외) 가운데 소득이 가장 중간에 있는 가구의 가장은 2006년 기준으로 은퇴 직전 4067만 원의 연봉을 받았다.

이 가장이 은퇴 후 희망하는 연간 소득은 은퇴 직전 연봉의 62%인 2529만 원이었다. 하지만 이 가장이 은퇴한 뒤 공적연금, 퇴직금, 개인연금 등을 통해 실제로 얻는 소득은 은퇴직전 연봉의 41%인 1666만 원이었다.

서울대 최현자(소비자학과) 교수는 "은퇴 후 희망 소득인 2529만 원과 실제 소득 1666만 원의 차이, 즉 은퇴 전 연봉의 21%인 836만 원 만큼이 은퇴 후 생활을 하면서 부족하게 느끼는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국의 은퇴자들이 은퇴 직전 연봉 대비 실제 은퇴 후 얻는 소득의 비율인 41%는 미국(58%) 영국(50%) 일본(47%) 홍콩(43%) 대만(43%) 등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봤을 때에는 50대가 은퇴한 뒤에 실제로 얻는 소득이 은퇴 직전 연봉의 35%밖에 안돼 은퇴 후를 대비한 준비가 가장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30대는 이 비율이 47%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40대는 41%, 20대는 42%로 나타났다.

한편 이날 '일본의 은퇴에 대한 인지도'라는 보고서를 발표한 피델리티 은퇴연구소의 노지리 사토시(野尻哲史) 소장은 "일본은 지난 10년 간 버블(거품)경제가 붕괴되면서 보유하고 있던 각종 자산가격이 급락한 경험 때문에 전체 가계자산 중 33.5%(2006년 기준)가 현금이나 예금자산일 정도로 투자에 소극적"이라고 소개했다.

노지리 소장은 이어 "일본은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데 20년이 걸렸지만 한국은 그보다 짧은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한국인들은 국민연금이나 퇴직금에 의존하기보다 적극적으로 은퇴를 대비한 투자를 빨리 시작해 노후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서현기자 baltika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