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실시되는 서울시 교육감 선거가 오늘 후보 등록을 마감한다. 이번 선거는 서울에서 처음 치르는 직선제 교육감 선거라는 의미가 있다. 시민 손으로 직접 교육감을 뽑는 교육자치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그럼에도 지난달 20일 서울시민 여론조사에서 ‘선거 방식이나 투표일에 대해 듣거나 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28%에 그쳤다.
하지만 이번 선거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 반(反)전교조’의 구도로 드러나면서 최근 선거 인지도가 60%대로 상승했다. 교육에 미치는 교육감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다행스러운 일이다. 각 지역 교육감은 해당 지역 초중고교 교육에 거의 전권을 행사한다. 지역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끌고 갈지가 교육감 손에 달려 있다. 서울시 교육감은 공립학교 교원 5만5000명에 대한 인사권을 갖고 있다. 특수목적고 지정, 학력신장을 위한 일제고사 시행과 0교시 수업 실시 여부를 모두 교육감이 결정한다. 다른 시도 교육감들이 학생들을 열심히 가르치는 쪽으로 학교를 운영하는데 특정 지역의 교육감이 ‘느슨한 교육’을 고집한다면 이 지역 학부모와 학생들은 그런 교육에 만족해야 한다. 교육감이 누구냐에 따라 각 학교 교장 및 교사들의 성향까지 바뀌기 쉽다.
교육감 후보들이 어떤 이념과 공약을 갖고 있는지 유권자들이 제대로 파악하고 투표권을 행사해야 한다. 이번 선거는 전교조가 지지하는 후보에게 반전교조 진영이 맞서는 양상이다. 반전교조 진영에선 여러 후보가 나선 반면에 전교조 쪽은 단일 후보를 내세워 집중 지원하고 있다. 전교조가 미는 후보는 전교조 코드의 교육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다. 큰 틀의 정부 교육정책과 서울지역 초중고교 교육이 함께 가느냐, 서로 충돌하며 교육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에게 혼란을 안기느냐 하는 것이 유권자들 손에 달렸다.
교육의 자율화와 다양화라는 세계적인 흐름에 역행해서는 국가 장래를 기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우리 자녀들이 세계무대에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경쟁력을 길러 주기도 어렵다. 그런 점에서도 교육감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어떤 후보를 교육감으로 뽑느냐 하는 것은 자녀 세대의 삶과 직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