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韓美공조 확인한 이명박-오바마 측 첫 회동

입력 | 2008-11-17 02:50:00


워싱턴 G20 금융정상회의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은 14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외교 참모격인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 짐 리치 전 하원 아시아태평양소위원회 위원장 등과 공식 간담회를 갖고 한반도 문제 전반에 걸쳐 의견을 나눴다. 별도로 브루킹스연구소 관계자들도 만났다. 이 연구소는 앞으로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되는 진보 성향의 싱크탱크다.

이 대통령은 “한미 양국이 같은 목소리를 내면서 긴밀한 공조 아래 북한을 효과적으로 설득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미국 측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 간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특히 브루킹스연구소 인사들은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미국의 의지는 확고하며, 따라서 북한이 (오바마 정부에) 과도한 기대를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고무적인 첫 대화로, 미국 대선 이후 제기된 북의 통미봉남(通美封南)에 대한 우려를 생각할 때 그 의미가 작지 않다. 국내 일각에선 “오바마 당선인이 북한과 직접 대화하기를 선호하므로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도 전면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첫 대면에서 한반도 비핵화의 원칙과 한미공조의 중요성을 확인한 만큼 이런 압박에 대해 우리 정부가 더 차분하고 냉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더욱이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클린턴 정부 말기 때인 2000년 12월 평양을 방문해 북-미관계 개선 문제를 논의한 주인공이다. 그를 포함해 미국 민주당에는 한반도 문제에 정통한 사람이 많다. 그들은 대화와 타협을 선호하면서도 필요할 때는 채찍도 써야 한다고 믿는다. 김정일 정권의 속셈과 수법을 잘 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조지 W 부시 공화당 정부 때보다 오히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선택의 폭이 더 넓어졌다는 관측도 많다.

어떤 경우에도 북한은 상황을 오판해선 안 된다. ‘핵 시료 채취 거부’ 같은 살라미 전술로 한미 양국을 압박하는 잔꾀 따위는 통하지 않는다. 오바마 정부는 한미공조와 6자회담의 틀 속에서 북핵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사실을 거듭 확인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