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理知논술]2009학년도 외고 구술면접 대비 예상문제

입력 | 2008-12-15 03:00:00


《이지논술에서는 새로운 외국어고 입시 유형에 맞는 구술면접 문제를 게재합니다.

해설 강의는 서울시내 외국어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등 명문대에 진학한 대학생들이 맡습니다.

▶easynonsul.com에 동영상 강의》

▼사회▼

다음 그림은 문화 변동 과정 및 양상을 나타낸 것입니다. (가)∼(다)와 관련된 설명을 잘못 말한 학생을 (보기)에서 찾아 적으시오.

「〈보기〉

건성: (가)는 동남아시아 고유의 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공존하는 경우다.

현주: (나)는 청나라의 만주족이 한족의 문화에 흡수되는 경우다.

만경: (다)는 토속 신앙과 외래 종교가 혼합되어 새로운 종교를 만든 경우다.

연서: (가)와 (나)는 성격이 다른 문화 간에 일어나는 장기간의 문화 변동이다.

상곤: (나)는 (다)보다 문화의 다양성에 기여하는 문화 변동 양상이다.」

[풀이 및 정답]

문화의 변동과 발전에 대해 알아보는 문제다. 서로 다른 A문화와 B문화가 상호 작용을 통해 문화 변동을 가져온다. (가)는 ‘문화 병존’의 사례로 두 문화가 상호 존중하며 공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는 인도 문화(불교 포함), 중국 문화, 원주민의 문화가 혼합된 문화 지역이다. (나)는 ‘문화 동화’의 사례다. 두 문화가 상호 작용을 통해 한쪽 문화로 흡수된 것으로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의 문화가 사라진 것이 한 예다. (다)는 ‘문화 융합(문화 창조)’의 사례다. 두 문화가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문화의 변동은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데 (가) 경우에서 (나)와 (다) 경우로 문화가 변동한다.

상곤의 설명은 (다)가 (나)보다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변동 양상이라고 해야 정확해진다. (나)는 강제적이고 획일적인 문화 변동 사례로, 크리스트교 문화가 신대륙에 진출했던 일을 예로 들 수 있다.

정답: 상곤

▼언어▼

(보기)는 낱말을 통해 단어의 집합 관계를 나타낸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입니다. (보기)와 같은 벤다이어그램을 통해 하나의 낱말을 추론하고자 할 때, ㉮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보기〉

*높새바람: 주로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태백산맥을 넘어 영서 지방으로 부는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북동풍을 말함.


[풀이 및 정답]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벤다이어그램에 제시된 단어들의 공통적인 의미(㉮)를 추리한 후 선택지에 제시된 단어의 의미를 확인하면서 정답을 골라야 한다.

(1)에서 ‘햇볕, 단시간, 비’를 통해 공통부분인 ㉮에 들어갈 만한 단어를 추론하면 햇볕 속에서 단시간에 내리는 비가 연상된다. 이에 해당하는 비는 맑은 날에 잠깐 뿌리는 비인 ‘여우비’다. ①가랑비는 이슬비보다는 좀 굵지만 가늘게 내리는 비(세우, 細雨), ②마른비는 땅에 닿기도 전에 증발되어 버리는 비, ④소나기는 갑자기 세차게 내리다가 곧 그치는 비, ⑤채찍비는 굵고 세차게 내리치는 비를 각각 가리킨다.

(2)에서 ‘사람, 운수, 험담’을 통해 공통부분인 ㉮에 들어갈 수 있는 단어를 추론하면 사람들에게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을 들을 운수 정도가 되겠다. 따라서 정답은 구설수(口舌數)다. 선택지 중에서 ‘운수(運數)’라는 개념이 들어있는 단어는 구설수밖에 없음에 유의하자. ①갈등(葛藤)은 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불화를 일으키는 상태, ③뒷공론은 일이 끝난 뒤에 쓸데없이 이러니저러니 다시 말하거나 겉으로 떳떳이 나서지 않고 뒤에서 이러쿵저러쿵 시비조로 말하는 일, ④말실수는 말을 잘못하여 저지르는 실수 또는 그 말, ⑤군소리는 하지 아니하여도 좋을 쓸데없는 말이나 잠이 들었을 때 꿈결에 하는 말을 가리킨다.

정답: (1) ③, (2) ②

▼영어 독해▼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에 어긋난 것을 고르고 바르게 고쳐 쓰시오.

『Traditionally, Koreans play yeonalligi mainly around New Year's Eve or from the tenth to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They hardly ever fly kites past the fifteenth day.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 player writes the Chinese character aek, meaning calamity or bad fortune on a yeon, a kite, ㈎winding more and more string to let it rise high in the sky. At this time, when no more string is left wound on the *bobbin, he cuts the string to separate the kite and ㈏lets it fly far away to take possible misfortune with it. The Korean yeon, kite, is normally rectangular regardless of its size, and a round hole ㈐is punched at its center to catch the strong wind freely in order to fly high. Owing to its shape, the yeon can be easily handled by anyone.

*bobbin: (통 모양의) 실패, 얼레』

○ 어법에 어긋난 것: __________________________

○ 바르게 고쳐 쓴 것: __________________________

[풀이 및 정답]

(한글 풀이) 전통적으로 한국인들은 주로 설날 전날, 또는 음력 1월 10일부터 15일경까지 연날리기를 한다. 그들은 15일이 지나면 거의 연을 날리지 않는다. 음력 1월 15일에 연 날리는 사람은 연에 한자로 큰 재난과 불운을 뜻하는 액(厄)이라는 글자를 써서 하늘 높이 날도록 더욱더 줄을 풀어준다. 이때 얼레에 줄이 더 이상 감겨 있지 않게 되면 그는 줄을 끊어서 연을 분리시켜 그 연이 예상할 수 있는 불운을 가지고 멀리 날아가 버리도록 한다. 한국의 연은 보통 그 크기에 관계없이 직사각형이며, 맘껏 높이 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강한 바람을 붙잡도록 연의 가운데에 둥근 구멍을 뚫는다. 그 형태로 인해 연은 누구라도 쉽게 다룰 수 있다.

(해설) 하늘 높이 날아갈 수 있도록 하려면 줄을 감는(winding) 것이 아니라 줄을 풀어주어야(unwinding)한다.

정답: 어법에 어긋난 것=(가), 바르게 고쳐 쓴 것=unwinding more and more st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