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공연]광대 부모의 길, 아들도 그 길에 서다

입력 | 2009-03-12 02:59:00

심봉사와 뺑덕어멈 연기를 선보이는 ‘찰개비’ 광대 부부. 쌀쌀한 날씨 탓에 아들은 노부모가 감기라도 들세라 안절부절못했다. 김미옥 기자


20~31일 유랑광대전 펼치는 ‘찰개비’ 가족

《팔십 평생을 쏟아 부어도 ‘전통 예술인’이라고 자존심 세울 수 있는 게 아니란다. 적어도 모태에 있을 때부터 ‘귀동냥’해야 한다는 얘기. 전통예술계에서는 대를 잇는 예인을 ‘개비’라고 한다. 그 전통이 좀 오래됐다 싶으면 ‘찰개비’라고 부른다. ‘비(非)개비’라 하면 욕이다. ‘찰개비’ 광대부부 강준섭(76) 김애선 씨(66)가 있다. 이들은 ‘판’에서 살고 삶 자체를 판에서 배웠다. ‘판’이 곧 삶이다. 광대 동료들이 하나둘씩 세상을 뜨거나 자취를 감췄다. 현역 ‘토종 광대’는 한 손에 꼽을 만큼만 남아 있다.》

광대부부가 모처럼 서울에서 판을 벌인다. 대를 잇고 있는 아들 민수 씨(30)도 북채를 든다. 20∼31일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사장 김홍렬)이 운영하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국문화의 집 코우스(02-567-8026)에서 ‘유랑광대전’이 펼쳐진다. ‘찰개비’ 광대 가족을 6일 코우스에서 만났다.

● 아버지 강준섭

“아들이 전수를 받겠다니까 힘들기도 하고 좋기도 하고”

● 어머니 김애선

“꽹과리만 가지고 놀더니… 지 살길 알아서 찾아가네요”

● 아들 김민수

“어릴땐 부모 부끄러웠지만 이젠 모든것 열심히 배울것”

○ 광대의 삶, 광대의 길

춤, 소리, 악기. 우리 전통연희의 여러 기량을 지닌 예인, 광대.

“시골 구석구석까지 찾아가 공연함시롱 살았소. 구경꾼들이 웃다가 탈장할 지경에 이르러야 광대는 사요. 그게 광대가 할 일이고 그래야 벌어먹소.”(강)

전남 진도의 세습무가에서 태어난 강 씨는 열세 살 때 ‘어정판(굿판) 식은 밥’을 더 먹기 싫어 집을 나왔다. 일제강점기 공연을 미끼 삼아 물건을 파는 일본의 보부상 조직 ‘데키야’를 따라다녔다. 거기서 명창 김준섭(1913∼1968)을 만나 심봉사 연기를 배웠다.

이후 ‘딸딸이’(수레바퀴 소리에서 따온 말)라 불리는 유랑극단을 따라다니며 판소리 ‘심청전’ ‘흥부전’부터 사극 ‘어사 박문수’ ‘단종애사’, 현대극 ‘안개 낀 목포 강’ ‘어머니 울지 마세요’까지 닥치는 대로 소리하고 연기했다. 유랑극단 시절에 경남 삼천포 출신인 광대의 딸 김 씨를 만나 결혼했다.

5일장이 서는 소읍에서 유랑극단의 활동은 요즘 ‘TV 홈쇼핑’과 비슷했다. 재담과 소리로 객석을 뒤집어 놓은 뒤 주방세제, 수세미, 고무장갑, 화장지 같은 각종 생필품에 ‘염소 똥’ 약까지 팔았다.

“단원들이 뒷산에서 염소 똥 안 줏었능교. 밀가루 발라가 약이라꼬….(웃음) 인자 그라마 큰일 나지예.”(김)

전국을 떠돌던 부부는 1979년 강 씨의 고향 진도로 돌아갔다. 망자의 극락왕생을 축원하고 유족을 위로하기 위한 상여놀이 ‘진도 다시래기’ 복원에 참여했고 1985년 인간문화재(다시래기 예능보유자)가 됐다.

하지만 강 씨의 주특기는 다시래기보다는 심청전의 심봉사 역할이다. 맹인의 어수룩한 특성을 과장해 표현하는 익살스러운 연기는 그만의 것이다. 의외로 말수가 많지 않던 강 씨가 사진 촬영을 위해 무대의상으로 갈아입었다. 눈빛이 살아나고 말이 많아졌다.

“내 심봉사 연기는 아무나 못하요. 나는 다른 사람처럼은 안 하니께.”

김 씨는 “(돈이) 없어서 그렇지 자존심 세고 책임감 있는 양반”이라고 거들었다.

광대부부에게 ‘분홍색 보따리’는 필수품이다. 그 속에는 찌그러진 갓 하나와 나무 지팡이, 담뱃대가 들어있다. 어디서든 판을 벌일 수 있는 소품이다. 그렇게 먹고살아왔다.

“이것만 있으믄 저승길 간다 해도 걱정 ㅱ당게.”(강)

○ 아버지의 길을 따라

민수 씨는 장난감보다 꽹과리를 좋아하는 꼬마였다. 광대부부는 늦둥이 아들이 ‘다른 일’을 하길 바랐다. 그러나 아들은 뭐든 두드리며 놀았고, 급기야 초등학교 때는 꽹과리를 배우겠다고 했다.

“팔잔데 우짤끼고, 니 하는 대로 해봐라 했지요. 안 갈Q는데도 듣고 본 기 있으이 지 살길 찾아 가데요.”(김)

아들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사물놀이를 전공한 뒤 서울 정동극장 사물놀이 단원으로 9년간 일하다 올해 2월 그만뒀다. 기력이 쇠하는 아버지를 보면서 낙향해 전통연희를 이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나 죽으면 나 같은 연기를 할 사람이 전국 어디에도 없소. 아들이 전수 받겠다니까 (마음이) 힘들기도 하고 좋기도 하고….”(강)

민수 씨의 말이다.

“어렸을 때는 장터에서 부모님이 이상하게 분장하고 사람들 웃기고, 광대로 공연하는 게 부끄럽더라고요. 그런데 철들고 보니 우리 것을 지켜가는, 중요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아버지의 모든 것을 열심히 배워보려고 합니다.”

어머니가 추임새를 넣었다. “우리 아들, 똑 소리 나부러.”

조이영 기자 lycho@donga.com


▲동아일보 김미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