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중 인사하는 윤학 씨.
** 이 기사는 저널로그 기자 블로그에 등록된 글입니다 **
그는 예전에 돈을 많이 벌었던 변호사다. 변호사 일을 접었지만 면허를 반납한 것은 아니니 여전히 변호사인 건 마찬가지다. 그런 그의 인생 전환도 절박한 열망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화이트홀 윤학 대표(52)를 만나러 갈 때에도 '돈이 많은데 뭔들 못하겠나'하는 삐딱한 생각이 사라지지 않았다. 만나자마자 물어보았다. "여전히 변호사인데, 인생을 걸고 방향을 바꾸셨다고 할 순 없지요?"
그가 웃으며 말을 받았다. "인생을 걸고? 아, 너무 비장하시네! 하하하~, 전 여전히 그대로예요. 예전엔 한 사람만 변호했을 뿐이고, 지금은 문화를 통해 다수를 변호하니 그게 좀 달라진 점이랄까."
커다랗게 웃느라 금세 실눈이 되는 그의 웃음엔 상대를 무장해제 시키는 힘이 있다. 인터뷰 내내 그는 "순수의 세계에 대한 열망"을 강조했다. "고향 뒷산에서 내려다본 바다 수면 위에 부서지던 햇볕"을 묘사하면서 금세 그리운 표정이 되는 그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처음에 삐딱했던 마음도 스르르 풀렸다. 열정은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다.
그는 서울 서초구 서초동의 공연장 화이트홀, 갤러리 화이트의 대표이자 월간 '가톨릭 다이제스트'와 '월간 독자'의 발행인이기도 하다. "너무 힘들고 바빠 도저히 병행할 수가 없어" 지난해 여름 변호사 업무를 완전히 정리한 뒤 이 일에 전념하고 있다.
12년 전 그가 인수하기 전, 고작 500부 발행되던 '가톨릭 다이제스트'는 지금 정기구독 독자만 6만여 명이다. 종교를 뛰어넘은 교양지를 표방하면서 2007년 창간한 '월간 독자'는 매달 3만부 가량 나온다. 아직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지 못해 "경제적으로는 완전히 손해 보는 짓"이다. 화이트홀, 갤러리 화이트가 들어선 5층짜리 빌딩이 그의 소유라서 임대료로 적자를 메우고 있는 형편이다. 그래도 발행규모를 축소하기는커녕 '월간 독자' 영문판 발행을 궁리 중이다.
"법률문서를 쓸 때는 '내가 이것 잘 써서 뭐하나' 하는 마음이 밑바닥에 있었어요. 내가 글을 쓰면 판사 한 명만 보는 거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으니까 훨씬 재미있어요."
그는 갑자기 일어나면서 "1000만 원짜리 카드 한번 보실래요?" 하더니 한 수녀님이 '월간 독자'를 읽고난 소감을 적어 보낸 감사 카드를 들고 와 보여주었다.
제가 '월간 독자' 만들면서 한 달에 2000만 원 넘게 써서 없애는 형편이지만 이런 카드 한 장 받으면 아, 정말 가슴이 뛰어요."
처음부터 그랬던 건 아니었다. 그도 어려서부터 끊임없이 남에게 인정받으려는 욕망을 품고 '경쟁'에서 이기려고 애를 쓰며 살았다. 오랜 세월 그에게 '경쟁'에서 이기는 것은 외면할 수 없던 가치였다. 그러다 어느 날 밤, 너무 밝은 달이 그에게 말을 걸어왔다.
"어느 날, 퇴근을 하는데 집 앞에서 초인종을 누르려다 보니 그날따라 달이 유난히 밝더라고요. 하필 그날 새 사건을 수임하면서 받은 수표가 주머니 여기저기에 가득 들어있었어요. 달을 쳐다보는데 갑자기 내가 지금 뭐하면서 살고 있나 하는 생각이 사무치는 거예요. 눈물이 핑 돌았어요. 결국 내가 찾는 세계는 돈이나 권력, 명예가 지배하는 이 세계가 아니라는 생각을 그 때부터 하기 시작했어요."
오랫동안 속해 있던 세계에서 그도 숱한 실패와 좌절을 겪었다. 전남 신안 흑산도에서 자란 그는 중학교 졸업 후 대도시 명문 고등학교 입시를 쳤다가 떨어졌다. 대학입시에도 떨어져 두 번 재수를 했고 사법시험에는 세 번 연거푸 떨어졌다. 변호사를 할 땐 '네가 꼭 필요하다'는 말에 넘어가 선거에 출마했다가 떨어졌다.
하지만 지나고 보니 실패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었다고 했다. 후기 모집으로 들어간 고등학교에 다닐 때, 5월 어느 날 교정에 성모성월의 노래가 울려 퍼졌다. 그때의 기분을 그는 "전 우주가 내게로 달려오는 듯한 기분"이라고 표현했다. 클래식의 세계, 그때까지 몰랐던 다른 세계가 있다는 것을 이 때 처음 알았다.
선거에서 떨어지면서 겪은 공개적인 실패도 그를 키워주었다. 그동안 '남이 나를 어떻게 볼까' 하는 문제에 지나치게 집착했다는 것도 깨닫게 됐다.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긴다'는 말도 허무맹랑하게 들렸고, '내 길'을 생각하며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다.
"내가 속해있던 세계에서 최상위의 명분은 '정의'였지만 그것 역시 나의 잘못은 덮어둔 채 남의 약점만 물고 늘어지는 불공정 게임일 수 있다는 사실도 깨달았어요. 마흔 넘기며 칭찬도 하루아침에 비난으로 변한다는 것도 체득했지요. 변덕스러운 사람들의 평가에 왜 내 인생을 겁니까. 고작 그런 사람이 되자고 정작 나를 잊고 살 수는 없지요. 그래서 나 자신에게 관심을 두기 시작했습니다. 작은 일에 정성을 기울이고 사람이 서로 진심으로 만나는 기회를 만들어내고 싶고요."
임대료 추가 수입이 꽤 나올만한 공간에 공연장과 갤러리를 만든 것도 같은 맥락에서라고 했다. "좋은 글과 음악, 미술만큼 사람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도 없다"는 생각에서다. 그가 "많은 사람이 자신의 본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나가는 것이 내가 하고 싶은 일"이라고 말하는 것을 바라보다가 정말로 뜬금없이 물어봤다. "그런데, 돈을 그렇게 다 써버리면 자녀들에겐 뭘 물려주시려고요?"
"돈요? 자기가 직접 벌지 않은 돈은 쥐약이에요. 그걸 왜 가장 사랑하는 사람에게 줍니까? 그보다는 좋은 생각을 심어주는 게 더 중요하지요. 나는 아이들에게도 뭐가 됐든 글을 쓰라고 늘 이야기해요. 글을 쓰면서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고, 남이 좋다는 것에 휩쓸리지 말고, 다른 사람의 가슴속 언어를 알아듣는 귀를 키우라고 말이죠. 그렇게만 할 줄 알면 자기 꿈은 스스로 실현할 수 있지 않겠어요?"
김희경기자 susan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