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사람 못 구해’ 일자리 6만8000개 비어 있다니

입력 | 2009-06-30 02:58:00


노동부가 3만1000여 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 1분기(1∼3월) 중 기업이 채용하려고 시도했으나 충원이 안 돼 인력을 기다리고 있는 일자리가 6만8000여 개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은 총 40만9000명을 뽑으려 했지만 16.7%를 충원하지 못한 것이다. 회사당 평균 2명꼴로 결코 작은 수가 아니다. 작년 같은 기간에도 미충원율이 18.2%였다. 구직(求職)과 구인(求人)이 제대로 맞아떨어지지 않아 일부 기업은 구인난에 시달리는데, 실업자는 넘쳐나는 안타까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설문 조사에서 ‘취업 지원자가 없다’(25.1%)거나 ‘직무능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다’(23%)고 대답한 기업이 절반에 가까웠다. 그렇다면 구인 기업이 느끼는 채용 애로를 덜기 위해 정부나 관련단체가 더 뛰었어야 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취업박람회를 여느라 돈을 쓰는 것도 좋지만 채용 의사가 있는데도 적합한 인력을 구하지 못한 기업을 맞춤형으로 도와줬다면 훨씬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올 들어 5월까지 20대와 30대 취업자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평균 32만 명이 줄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후 최대의 감소폭이다. 연간 전체로 취업자 수가 10만 명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치를 이미 웃돌고 있다. 하반기에는 비정규직 해고 대란 우려와 함께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사정 악화가 예상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급격한 성장률 하락을 막으려면 최소한 한 해에 30만 개 일자리가 창출돼야 한다고 본다. 일자리 하나가 아쉬운 판에 6만8000개나 되는 일자리가 사람을 구하지 못해 비어 있다니 딱하다.

산업별로 비어 있는 일자리는 제조업이 2만4000개로 가장 많다. 중소기업 공장에서 일하기보다는 서비스 업종이나 유흥업소 종업원을 선호하는 젊은이들이 적지 않다.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결하기 위해선 생산현장에서 땀 흘리는 사람들을 우대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

정부의 청년 취업 지원 기능도 보완돼야 한다. 노동부는 인턴 지원, 글로벌 취업 지원, 직업 훈련, 진로 지도, 창업 지원 등 7개 분야에서 33개의 청년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취업 현장의 기대에는 못 미친다. 통계청 조사 결과 청년들이 취업할 경우 정부의 취업 지원 서비스보다는 가족 친지나 학교에 의존하는 경우가 30%나 된다. 청년들이 믿고 찾을 수 있도록 취업 지원 서비스를 개선하고 청년 취업 지원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