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봉주·황영조가 말하는 “한국마라톤 이것이 문제”

입력 | 2009-08-25 09:15:00


남자마라톤은 세계수준에 가장 근접한 육상종목으로 꼽혔다. 하지만 22일(한국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12회 세계육상선수권에서는 중하위권에 그쳤다. 1992바르셀로나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황영조(39·국민체육진흥공단감독)와 1996애틀랜타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이봉주(39·삼성전자)를 앞세워 90년대 전성기를 구가한 한국남자마라톤은 이봉주 이후 후계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세계기록이 2시간5분42초(할리드 하누치·1999년)에서 2시간3분59초(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2008년)로 줄어들었음에도 이봉주의 한국기록(2시간7분20초·2000년)은 제자리. ‘마라톤 영웅’ 황영조, 이봉주로부터 한국마라톤의 부진이유와 대안을 들어봤다.

○ 한국마라톤, 꿈이 있는 선수가 없다

황영조 감독은 “가장 큰 문제는 선수들의 목표의식 부재”라고 못 박았다. 90년대 코오롱이 적극적으로 마라톤에 투자했지만, 현재는 그 이상이다. 신기록 포상금도 더 많아졌다. 황 감독은 “과학화 등 훈련시스템 역시 한층 정교해졌다”고 했다. 이봉주 역시 “운동의 여러 조건들이 90년대와는 비교할 수 없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하지만 선수들에게는 패배주의가 만연해 있다. 얇아진 선수 층. 선수들이 그 나물에 그 밥이나 보니, 국내 대회에 집중하면 성적내기가 쉬워졌다.

베를린에서 경기를 지켜본 한 육상인은 “선수들이 어차피 성적이 안나올 세계선수권에 집중하기보다 가을로 예정된 국내대회에 컨디션을 맞추는 인상이었다”고 했다. 국제대회에 초점을 맞추는 선수 자체가 없다보니 독기가 사라졌다. 황 감독은 “예전에는 선수들이 올림픽 금메달을 목표로 훈련했지만, 요즘은 2시간 10분대에만 들어와도 만족한다”며 안타까워했다. 훈련량 자체도 자연스럽게 줄어들었다. 이봉주는 “예전에는 5시간 정도를 쉬지 않고 달리기도 했는데, 젊은 후배들은 그 절반만 뛰어도 손사래를 친다”고 했다.

○ 한국마라톤, 씨앗부터 다시 심어라

90년대 한국마라톤의 황금기에는 황영조, 이봉주 뿐 아니라 김이용, 백승도, 김재룡, 김완기 등이 정상을 위협했다. 이봉주는 “그 때는 경쟁체제 속에서 기록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했다. 대부분이 중장거리에서 탄탄하게 스피드와 지구력을 닦은 뒤 마라톤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한 경우. 이는 서울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을 거치며 유망주들을 집중 육성한 80년대의 유산이었다.

그 저변 속에서 경쟁체제가 생기고, 세계수준의 선수들이 탄생했다. 2011년까지 남은 시간은 단 2년. 현격한 성과를 내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 황 감독은 “지금이야 말로, 처음으로 돌아가야 한다”면서 “10년의 계획을 세워 씨앗을 뿌려야 할 시기”라고 했다.

그 첫걸음은 유망주 발굴. 사이클 선수로 활약하던 황영조는 고교 때 육상으로 전향했고, 마라톤 풀코스 입문 2년 째 4번째 완주에서 금메달을 땄다. 2011년, 대구의 영광도 꿈만은 아니다. 이봉주는 “유망주 발굴만큼이나 관리도 중요하다”면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제2의 황영조’라고 불리던 모 선수는 불성실한 훈련태도로 결국 올 초 소속팀에서 방출된 전례가 있다.

전영희 기자 setupman@donga.com

[화보]韓 ‘간판 마라토너’ 이봉주, 올림픽 金 도전장
[화보]이봉주, 2007 서울국제마라톤대회 우승
[관련기사]마라톤마저…거꾸로 뛰는 한국육상
[관련기사]DMZ마라톤 대회 양구 두타연서 열려
[관련기사]케냐 키루이, 남자 마라톤 대회新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