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인 1989년 5월 2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결성됐다. 넉 달 후인 그해 9월 22일에는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참학)’가 발족했다. 두 단체는 같은 해 태어나기도 했지만 민족, 민주, 인간화 교육을 ‘참교육’으로 내세우고 ‘평등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에서도 같다. 참교육으로 포장한 민족, 민주, 인간화, 평등이라는 키워드는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그들의 본심은 다른 곳에 있다. 우리의 교육실상과 교육이념을 왜곡하는 데 ‘죄 없는 단어’들을 동원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교육이 참교육인지에 대해서는 교육철학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가능하다. 하지만 학교나 교육당국, 정부의 교육방침 및 정책에 무조건 반대, 거부하도록 가르치는 것이 참교육일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다. 대한민국 헌법의 최고 가치인 자유민주주의 기본질서를 해치는 인간형을 만드는 게 참교육일 수도 없다. ‘참학’은 전교조의 반(反)정부 노선 및 친북(親北)좌파라는 반(反)헌법적 행태를 지지하고 지원해 왔다는 점에서 전교조의 들러리나 다름없다.
▷‘참학’은 전국 각지에 지부가 있고, 회원은 총 5000여 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체는 돈 봉투·불법 찬조금 없애기 운동, 학교 급식 개선운동, 교복 공동구매 운동, 학교폭력 없애기 운동 등 여러 활동을 벌여왔다. 학부모 단체로서 해야 할 일도 적지 않게 해온 셈이다. 그러나 헌법 31조에 규정된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무시하고 모든 학생을 능력과 무관하게 똑같은 조건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평등교육’을 주장하면서 경쟁교육에 반대해왔다. ‘글로벌 인재교육’은 ‘소수 엘리트를 위해 다수를 희생시키는 발상’으로 몰았다.
▷‘참학’은 이제 전교조의 단골 투쟁 메뉴였던 학업성취도 평가 거부를 직접 떠맡겠다고 나섰다. 이달 13, 14일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초중고교 학업성취도 평가를 거부하고 집단 체험학습을 떠날 계획이라고 한다. 이번에는 문화예술제 형태로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학업성취도 평가를 거부한 상당수 교사가 중징계를 당하자 대응책으로 ‘참학’이 전면에 나선 것이다. 학부모 단체가 학생들을 전교조의 도구로 내주는 건 결코 참교육이 아니다.
육정수 논설위원 sooy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