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자 이야기]小人은 難事而易說也니 說之雖不以道라도…

입력 | 2009-10-12 03:34:00


지도자나 윗사람이 만일 重厚(중후)하지 못하고 별 볼일 없는 小人이라면 그 아래에서 일하는 사람은 일하기가 쉬울까? 그의 기분을 맞추어주기는 쉬워도 그 아래서 일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어째서인가? 그 소인은 알랑대는 말을 좋아할 뿐이며, 사람의 力量(역량)을 고려하지 않고 일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논어’ ‘子路(자로)’에서 공자는 지도자가 군자인 경우와 대비시켜 그 점을 명쾌하게 지적했다. 지도자가 군자라면 그에게는 아첨을 해도 효과를 볼 수 없다. 또 지도자가 군자라면 일을 시킬 때 각자의 器量(기량)을 헤아릴 것이다. 소인은 그 반대다.

여기서 小人은 不德(부덕)하면서 윗자리에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難事(난사)는 밑에서 일하기 어렵다, 易說(이열)은 기쁘게 하기 쉽다는 뜻이다. 說之의 之는 앞에 나온 小人을 가리킨다. 雖不以道는 ‘도로써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니, ‘뇌물이나 아첨으로 기쁘게 한다고 하더라도’의 의미다. 及은 ‘∼하게 되면’이다. 使人은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는 말이다. 也는 앞의 말을 주제화한다. 求備는 한 사람에게 萬能이기를 요구하여 할 수 없는 일까지 해주기 바라는 것을 말한다. 焉은 ‘∼에 있어서, ∼에 대해서’의 뜻을 지닌 종결사다.

求備는 아랫사람에게 萬能(만능)이기를 요구함이니, 따지고 보면 아랫사람을 인격 주체로 존중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는 것이다. 상대방의 기량을 헤아려 일을 맡기는 器使(기사)와 정반대다. 나의 윗사람은 기쁘게 하기 쉬운 소인인가 아닌가? 내 능력 이상의 것을 요구하는 소인인가 아닌가?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