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아프간 평화 위해 힘 보태야

입력 | 2009-10-21 03:00:00


아프가니스탄전쟁이 오늘로 개전(開戰) 8년 14일을 넘긴다. 공동번영과 평화를 추구하는 21세기에 6년 6개월이나 싸웠던 이라크전쟁과 6년 2일 동안 지속된 제2차 세계대전보다 훨씬 긴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 아프간전쟁은 글로벌 시대의 인류가 풀어야 할 공통의 과제다. 주요 20개국(G20)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으로서 세계 10위권의 경제력을 가진 한국도 당연히 아프간 평화 정착을 위해 힘을 보태야 한다. 미국을 비롯한 42개국이 아프간에 군대를 보내 탈레반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와 역할에 따라 국가 위상이 달라지는 세계화 시대에 우리가 구경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내일과 모레 서울에서 한미 군사위원회(MCM)와 안보협의회(SCM)가 열린다. 미 국방부 관계자들은 “한국의 아프간 지원은 빠르면 빠를수록, 규모는 클수록 좋다”는 말로 양국 국방책임자들이 아프간 문제를 논의할 것임을 예고했다. 미국의 요청에 수동적으로 응하기보다는 세계 평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국력에 걸맞은 기여를 하겠다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정부는 5월 아프간 바그람 미 공군기지 병원 신축, 민간재건팀(PRT) 증원, 경제지원 확대를 약속했다. 그래도 세계 각국이 약속한 아프간 지원 가운데 우리의 부담액은 0.13%에 불과하다. 내년까지 계획을 모두 실행해도 누적지원액은 1억 달러가 채 안 된다. 일본의 20억 달러 지원과 비교하면 초라한 수준이다. 경제지원 대폭 확대가 어려우면 의료, 경찰 및 민간인 직업훈련, 장비 제공 등 기존 지원사업의 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다. 지원 활동을 펴는 우리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경비 병력을 보내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아프간 지원에는 물론 위험이 따른다. 아프간에 의료 공병부대를 파견한 이후 우리 장병 1명이 테러로 숨졌고, 민간인 23명이 탈레반에 납치돼 2명이 살해되는 비극을 겪었다. 그렇다고 해서 아프간을 회피하기만 하면 우리는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을 얻기 어렵다. 아프간은 6·25전쟁 때 우리처럼 외부지원이 절실한 곳이다. 아프간 지원은 우리가 국제사회에 진 빚을 갚는 일이기도 하다.

세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우리가 기여한 만큼 국제사회도 한반도 평화정착 노력에 동참할 것이다. 아프간 지원은 한미 동맹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늦어도 다음 달 버락 오바마 대통령 방한 때까지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