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경남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최석기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원장(오른쪽)이 두류고전연구회원들에게 박물관 지리산 전시회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양판석 진주 동명고 교사, 강현진 경상대 한문학과 박사과정, 김지영 전병철 HK연구원, 이영숙 한문학과 강사, 강정화 HK연구교수, 정현섭 한문학과 강사. 진주=이새샘 기자
조식-김종직 등 영호남 대학자
지리산 자주 찾아 내면 성찰
천왕봉 → 호연지기, 청학동 → 신선
관심사 따라 등반 목적지 달라
7일 오후 4시 반, 경남 진주시 진주성 내 국립진주박물관 앞에 ‘두류(頭流·지리산의 다른 이름)고전연구회’ 회원이 하나 둘씩 모이기 시작했다. 디지털렌즈교환식(DSLR) 카메라를 멘 최석기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원장은 일찌감치 도착해 박물관의 ‘지리산’ 전시를 한 차례 둘러본 뒤였다.
두류고전연구회는 최 원장이 경상대 한문학과 출신 학자들을 모아 1998년 시작했다. 80여 편에 이르는 15∼20세기 지리산 유산기(遊山記)를 모두 번역해 책으로 펴내는 게 목표다. 회원은 8명이다. 2001년 첫 책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돌베개)을 낸 뒤 ‘용이 머리를 숙인 듯 꼬리를 치켜든 듯’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3’(보고사)을 냈다. 전체 유산기 중 40여 편이 담겨 있다.
유산기는 산을 유람한 동기와 목적, 보고 들은 것, 감상 등을 기록한 기행문학을 가리킨다. 유교에서 ‘요산요수(樂山樂水)’를 강조한 만큼 주로 조선시대 때 유학자들이 많이 남겼다.
지리산의 경우 남명 조식, 점필재 김종직 등 전라도와 경상도의 여러 유학자가 유산기를 남겼다. 남명은 지리산 덕천동(지금의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은거하기도 했다.
당대의 산행은 단순히 경치를 즐기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 특히 지리산의 경우 당쟁의 와중에 낙향하거나 좌천된 재야인사들이 내면의 갈등을 해소하고 자신을 성찰하기 위해 자주 올랐다.
최 원장은 “지리산이 유교,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세계관을 품고 있기 때문에 유산기에서 당대 유학자들의 내면세계가 잘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관심사에 따라 등산의 목적지가 달랐어요. 천왕봉에 올라서는 ‘높은 곳에 오르면 천하가 작아 보인다(登泰山小天下)’는 공자의 가르침과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되새겼고 청학동에서는 신선세계를 유람한다고 생각했죠.”
이날 모임은 촉석루에서 경상대 남명학관으로 옮겨 내년 여름에 출간할 예정인 지리산 유산기 4권에 관한 논의로 이어졌다. 이 책은 유산기 각각의 등산 경로를 그린다. 필자들이 직접 산에 올라 사진을 찍어 싣는다. 실제로 ‘지리산 아흔아홉골’(www.jiri99.com)이라는 인터넷 등산모임은 책에 나오는 유학자들의 경로를 따라 지리산에 오르기도 한다. 최 원장이 이 모임과 함께 산을 오르며 강의를 하기도 했다. 최 원장은 “번역에 그칠 게 아니라 책을 내야 학자들의 역량도 높아지고 일반인들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유산기를 보고 지리산을 오르면 그냥 등산을 하는 게 아니라 그동안 지리산이 어떻게 변했는지 그 역사를 체험할 수 있죠. 선조들의 기개와 정신세계도 느낄 수 있고요. 이렇게 우리 역사와 문화를 좀 더 풍부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 저희 번역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진주=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