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憲問(헌문)’의 이 章에서 공자는 인재를 기량에 따라 임명해서 책무를 다하게 하는 器使(기사)야말로 정치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공자는 衛(위)나라 靈公(영공)이 無道(무도)하지만 외교, 전례, 군사의 일을 적임자에게 맡겨두었기 때문에 失脚(실각)할 리 없다고 했다. 위나라 영공은 일곱 살 때부터 42년간이나 군주로 있었으나, 부인 南子(남자)에게 빠져 정치에는 무관심했다. 결국 그가 죽은 뒤에 내란이 일어났다.
공자는 45세 때 노나라를 떠나 위나라에 들러 영공을 만났으나 공자를 예우하려던 영공의 뜻에 반대하는 자가 있어서 1년 남짓에 위나라를 떠났다. 뒤에 공자가 다시 위나라에 들렀을 때 영공은 軍陣(군진)의 일을 물었다. 공자는 軍旅의 일은 공부하지 않았다고 대답하고 위나라를 떠났다.
공숙어 등은 결코 완전한 인격자가 아니었다. 공숙어는 인륜을 혼란시켰고 축타는 아첨을 하였으며 왕손가는 권력을 팔았다. 하지만 그들의 재능과 식견은 나라를 보존하기에 넉넉했다. 지도자의 德望(덕망)보다 器使(기사)가 중요함을 거듭 깨닫게 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