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전략 이것만은 챙기자
혹한의 날씨에도 입시업체들이 마련한 입시설명회에는 학부모와 학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대학별 전형방법이 다양해지고 성적 산출방식도 복잡해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올해 입시에서 수능 성적만 가지고 합격 여부를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다. 쏟아지는 입시 정보에 흔들리지 말고 자신만의 지원 원칙을 세워 준비해야 할 때다. 정시 지원 전략을 수립할 때 고려할 요소를 짚어본다.
수능 성적만 좋으면 무조건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 물론 정시모집은 수능 성적이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다른 전형 요소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일부 대학은 학생부 성적의 실질반영비율을 크게 확대했다. 논술고사가 폐지된 만큼 정시모집에서 학생부 성적의 영향력이 예전보다 커진 것. 지원 전략을 세우기 전에 목표로 하는 대학의 학생부 성적 반영비율을 반드시 고려한다.
○ 수리 ‘가’ ‘나’형 반영 여부를 확인하라
올해부터 ‘가’형, ‘나’형 반영 여부가 바뀌었다면 지난해 입시 결과와 비교한다. 2009학년도에 수리 ‘나’형을 반영했는데 올해는 수리 ‘가’형을 반영한다면? 합격선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반대의 경우라면 합격선이 올라간다.
또 수리 ‘가’형을 지정한 중하위권 대학은 수리 ‘나’형을 반영하는 대학보다 경쟁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점수와 실제 합격선에 차이가 생기므로 잘 따져보고 지원한다.
○ 입시 흐름을 놓치지 마라
경기가 침체되면 토목이나 건축 관련 학과의 경쟁률이 떨어진다.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보장되는 학과나 취업이 잘 되는 학과에 학생들이 몰린다. 지원이 진행되는 동안 언론들은 입시 결과에 대한 다양한 예측을 내놓는다. 예측에 따라 특정 학과에 학생들이 몰리기도 하고 인기학과가 예상과 달리 낮은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한다.
○ 허점을 활용하라
교대의 경우 백분위점수가 예상성적과 일치하지 않을 때가 많았다. 이는 수리 ‘가’형과 ‘나’형의 성적을 동일하게 여긴 결과로 볼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교대의 합격선이 하락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09학년도 입시에서는 상대적으로 상승했지만 입시업체들이 예측한 합격선에는 미치지 못했다. 중등자격증 소지자의 초등 임용을 허용하면서 올해는 교대에 지원하는 학생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경쟁률 변화를 끝까지 지켜봐야 한다.
이종서 청솔학원 CS교육컨설팅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