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한국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애정으로 한국 대학의 문을 두드렸을 것이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실력은 수업을 듣기엔 턱없이 부족해 보인다. 대학에서도 유학생을 선발할 때 일정 수준 이상의 공인 한국어 점수를 요구하기는 한다. 그러나 이 점수가 한국에서의 학업 능력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 듯하다.
일상생활을 위한 대화와 대학 수업에 쓰이는 언어는 분명 차이가 있다. 대학 어학당에서 가르치는 한국어 개설 강좌를 살펴보면 대부분 초심자 수준의 일상회화에 맞춰져 있다. 학부 유학생을 위해 논문 쓰는 법을 가르친다거나 학문적 말하기를 교육하는 일은 거의 없다. 총련계 교포로 19년간 일본어를 쓰며 살아왔던 A 양은 재작년 국내 사립대학에 입학한 뒤 어학당 코스를 밟았다. 1년간 한국어를 집중적으로 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을 따라가기엔 아직 많이 벅차다고 한다.
이들은 잠시 머물렀다 자기네 나라로 돌아가는 교환학생이 아니다. 한국어로 과제를 내고 발표를 하고 논문을 써서 학위를 받아야 한다. 이들에게 한국어는 반드시 극복해야 할 벽이다. 한국에서 공부하기로 한 이상, 한국어를 철저히 습득해 수업에 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양질의 교육을 받은 유학생이 한국에서 청운의 꿈을 이루도록 학교가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뒷받침해야 한다.
이경진 이화여대 언론정보학과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