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일 3만km의 사투… ‘진화의 원점’에 서다
찰스 다윈이 진화론의 이론적 토대를 쌓은 갈라파고스 제도의 ‘다섯손가락 섬’(왼쪽). 다윈의 항로를 따라 항해 중인 ‘장보고 주니어’호가 지난해 12월 16일 섬 주변을 돌고 있다. 수평선 안개 속에 아침 해가 떠오르고 있다. 갈라파고스=신광영 기자
남미대륙 육로로 탐사
도중 두번이나 강도 만나
새 배 구입 다시 바다로
스크루에 그물 엉켜 죽을고비
‘검은 섬’이 마침내 눈앞에…
지난해 11월 28일 오후 6시. 화산암으로 뒤덮인 검은 섬이 노을 사이로 모습을 드러냈다. 다윈의 진화론이 시작된 ‘생명의 원점’ 갈라파고스. 415일 전 ‘다윈의 길’을 따라 떠난 3만 km의 여정이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장보고 주니어’호 탐사대장 권영인 박사(49)는 “살아서 도착했다는 것 하나로 마음속 모든 응어리와 오랜 긴장감이 녹아내렸다”고 말했다. 권 박사와 지준명 선장(55), 권상수 대원(42)은 서로의 머리를 맞대고 말없이 눈물을 흘렸다.
○ 죽을 고비
갈라파고스 도착 일주일 전 적도 무풍지대를 지날 때였다. 저녁에 폭풍우가 온다는 예보가 있었기 때문에 해가 지기 전 서둘러 주변의 섬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었다. 바람이 없어 배를 움직일 수 있는 건 엔진밖에 없었지만 시동이 걸리지 않았다. 엔진오일을 갈아보고 팬벨트도 점검했지만 이상이 없었다. 시간은 가고 파도는 무섭게 높아져 갔다.
권 대원이 결국 바다에 뛰어들었다. 파도가 높은 바다에 뛰어드는 건 죽음을 각오해야 한다. 배 밑으로 가보니 스크루에 그물이 엉켜있었다. 서둘러 풀지 못하면 권 대원의 목숨은 물론이고 배가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10여 분 만에 그물을 풀고 물 위로 올라온 권 대원은 오른손에 쥔 칼을 건네줄 생각도 하지 못하고 왼팔 하나로 휘청거리는 배 위로 기어올랐다. 권 대원을 부축한 지 선장은 “다윈도, 탐사도 다 좋은데 일단 살고 봐야지”라고 했다.
딱 1년 전인 2008년 크리스마스이브. 대서양 카리브 해 부근에서 정박을 시도하다 7∼8m 되는 파도를 만났다. 파도와 파도 사이에 배가 있었다.
장보고 주니어호의 배 꽁무니에는 인공 낚시 미끼가 매달려 있다. 적극적으로 낚진 않지만 한 번씩 들려오는 낚시 방울소리가 오랜 선상 생활의 지루함을 달래준다. 권영인 박사(오른쪽)와 지준명 선장이 약 1m 길이의 청새치를 잡고 기뻐하고 있다.
배 위에서 숱한 죽을 고비가 있었지만 권 박사는 “비바람 몰아치는 바다가 봄바람 부는 육지보다 차라리 안전하다”고 했다. 권 박사는 사재를 털어 마련한 첫 번째 배 장보고호가 풍랑으로 부서진 뒤 새 배를 구하기 전까지 넉 달간 남미 대륙을 육로로 탐사했다.
그는 지난해 4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길을 걷다가 등 뒤에서 ‘퍽’ 하는 소리를 들었다. 돌아보니 현지인으로 보이는 남성 4명이 “네 등에 새똥이 떨어졌으니 닦아 주겠다”며 팔을 붙들었다. 그중 한 명이 가방을 대신 들어주겠다며 낚아채려 했다. 강도임을 눈치 채고 인근 역사박물관 화장실로 도망갔지만 괴한들은 그곳까지 따라와 몽둥이로 화장실 문을 두드렸다. 한참을 버틴 뒤에야 괴한들이 사라졌다.
다윈이 화강편마암을 연구한 곳으로 알려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노사 세뇨라 성당 인근에서도 권 박사는 봉변을 당했다. 렌터카를 몰고 성당 주변의 빈민촌을 지나는데 총을 든 남자 2명이 건물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차를 세운 뒤 창문을 두드렸다. 두려운 마음에 무작정 차를 돌려 도망쳤다. 알고 보니 종종 총격사고가 나는데 마약상과 범죄자들이 몰려 있어 경찰이 접근을 못하는 곳이었다.
서양에는 “진정 잃고 싶지 않은 친구와는 함께 항해하지 말라”는 격언이 있다. 바다에 갇힌 좁은 공간에서 오랜 시간 부대끼면서 미묘한 신경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6.6m2 남짓한 선실에는 권 박사와 지 선장, 권 대원이 함께 생활한다. 적도지방의 낮 기온은 보통 40도 안팎. 작열하는 태양을 피할 수 있는 갑판 위 천막 밑 자리를 두고도 신경전이 벌어졌다. 딱 한 사람밖에 앉을 수 없기 때문. 극도로 신경이 곤두서 있는 상태에서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전쟁 아닌 전쟁을 벌여야 했다.
강풍 지역에서 돛을 어느 정도 빳빳하게 펼지를 두고도 티격태격했다. “돛을 팽팽히 당겨 속도를 내야 한다”, “돛을 느슨하게 해 안전하게 가야 한다”고 의견이 갈리기 때문이다. 세 사람이 3시간씩 3교대로 키를 잡는데 근무자가 바뀔 때마다 돛의 모양이 바뀌었다.
어느새 바뀌어 있는 돛 모양을 보고 “그 실력으로 어떻게 태평양을 건널 생각을 했느냐”는 등의 막말과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파도가 심해 밥을 못 해먹고 며칠을 과자로 때우던 와중이라 신경이 더 날카로워졌다. 배 안에선 하루 종일 속옷만 입고 지내는 사이지만 마음이 상하면 닷새 넘게 서로 말문을 닫고 끼니때마다 자기 식사만 몰래 해먹기도 했다.
○ 다시 바다로
2009년은 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이 탄생한 지 200주년 되는 해. 권 박사는 이를 기념해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세계를 누비던 자취를 따라 항해하며 지구 변화 연구와 해양 자원 탐사를 하기로 했다. 2008년 10월 미국 아나폴리스에서 처음 장보고호를 타고 바다로 나섰다.
하지만 2009년 초 강한 파도에 맞아 배가 파손되면서 함께하던 대원이 떠났다. 결국 3월부터 넉 달 동안 육로로 탐사를 진행했고 7월에 어렵게 두 번째 배인 장보고 주니어호를 마련했다. 때마침 항해 경험이 풍부한 지준명, 권상수 씨까지 항해를 함께하겠다며 자원하면서 권 박사는 항해를 재개할 수 있었다.
지난해 크리스마스를 일주일 앞둔 12월 18일. 갈라파고스에 20일을 머문 그들은 다시 태평양을 건너 한국으로 가는 8000km의 여정의 닻을 올렸다. 미국 아나폴리스에서 바다로 나선 지 435일째 되는 날이었다.
갈라파고스=신광영 기자 ne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