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里仁(이인)’에서 공자는 曾子(증자)에게 ‘吾道(오도)는 一以貫之(일이관지)’라 했는데 증자는 동문에게 ‘선생님의 도는 忠恕(충서)일 따름이다’라고 부연했다. 주자는 忠이란 자기 마음의 정성을 다하는 일, 恕란 자기 마음을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려 자기가 싫어하는 일을 다른 사람에게 행하지 않는 것이라고 보았다. 一貫의 道를 忠과 恕로 구분한 것이다. 그런데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에서 공자는 ‘일생토록 행해야 하는 하나를 든다면 恕일 것이다’라고 했다. 그렇기에 정약용은 一貫의 道란 恕로, 忠은 恕의 바탕이라고 보았다.
一言은 片言隻語(편언척어)다. 可以는 ‘그것으로써 ∼할 수 있다’이되, 가능을 나타내는 복합어로 보아도 좋다.
공자는 恕에 대해 ‘자기가 바라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는 것이다’라고 정의했다. ‘顔淵(안연)’에서도 仲弓(중궁)에게 仁을 설명하면서 같은 말을 했다. 恕는 곧 推己及物(추기급물)이다. 자기 마음을 미루어 남에게 미치는 것이니 내가 저 사람의 처지라면 어떻게 할까 하는 생각으로 남의 처지를 이해하려고 하는 배려의 태도다.
恕는 仁과 어떻게 다른가? 자기 마음을 미루어 남에게 미치는 것이 恕라면 자기의 마음 그대로 남에게 미치는 것이 仁이다. ‘맹자’에서 ‘恕를 힘써 행한다면 仁을 구함이 이보다 가까운 것이 없다’고 했으니 恕는 仁보다 未盡(미진)하다. 그렇지만 자기를 다스리는 마음으로 남을 다스리고 자기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남을 사랑하는 恕야말로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정신태도일 듯하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