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적으론 유럽 재정 위기의 확산 정도에 따라 전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몇 가지 요인을 점검해야 한다. 먼저 남유럽의 재정 위기를 어떻게 볼 것인지가 중요하다. 동유럽 및 두바이 사태처럼 미국발 금융 위기의 여진인지, 아니면 글로벌 재정 위기의 출발인지가 관건이다. 금융에서 터진 것을 재정으로 막다가 다시 터졌기 때문에 일단 금융 위기의 여진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국가 부도 리스크. 현실적으로 국가 부도 위험은 높지 않다. 특정 국가의 부도가 아닌 유로지역 전체의 부도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유럽연합(EU)이 진화에 전력투구할 것이다. 셋째, 해법 찾기. 거시경제 관점의 해법은 재정 축소 및 건전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다. 세수 확대와 재정지출 축소가 병행돼야 하는데 광범위한 정치적 합의가 필요하다.
EU와 유럽중앙은행(ECB)이 구원투수로 나서야 한다. EU 집행위원회가 유로 채권(euro bond) 발행 권한을 부여받아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회원국에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 과거 EU 집행위원회는 헝가리와 라트비아에 긴급자금 지원을 위해 유로 채권을 발행했고 ECB가 자금지원 업무를 수행했었다. 유로 채권을 그리스 같은 회원국 정부가 발행하되 유로지역 정부가 공동으로 지급을 보증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구체적 해법이 나와야만 이슈가 진정될 것이다.
반면 얻은 것은 글로벌 출구전략이 늦춰진다는 것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ECB 모두 올해 금리 인상이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호주의 금리 동결에서 보듯이 긴축을 이미 시작한 국가도 신축적 대응으로 선회할 것이다. 정부에서 민간으로 성장 주체의 이전이 더디고 돈이 돌기 시작했지만 아직까지 실물보다 금융시장에 맴돌고 있기 때문이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