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으나 단체장에 비해 교육감 선거에는 주민들이 별로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 상당수 주민은 “교육감 예비후보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인지는 모르겠다”고 말하곤 한다. 최근 몇몇 여론조사에서도 70%가량의 유권자가 교육감 예비후보들을 “잘 모른다”고 답했다.
예비후보가 3명인 경북과 달리 10여 명이 출마 의사를 밝힌 대구시교육감 선거의 경우 유권자들의 무관심 속에서 ‘정치판’을 닮아가고 있다. 인신공격성 음해가 난무하고 각종 단체에 기웃거리며 표를 구하려는 모습도 흔하다. 보수우파니 진보좌파니 하면서 후보를 단일화해 대결해야 한다는 예비후보들만의 목소리가 높다.
선거공약이 신뢰감을 잃은 탓도 있지만 대구시교육감 예비후보들이 내세우는 ‘공약’도 알맹이가 없어 보인다. “대구 교육을 살려 교육도시의 자존심을 되찾겠다” “대구 교육을 확 바꾸겠다”며 내세우는 방안이 공교육 정상화나 학력 향상, 글로벌 교육 등 그동안 계속 들어온 구호에 불과하다. 정책 대결을 해야 하지만 현재 수준으로는 불가능해 보인다.
대구는 주민 직선으로 하는 첫 번째 교육감 선거다. 10여 명이 각자 소신을 갖고 출마하려는 것은 ‘후보 난립’이라기보다 대구 교육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데 적합한 인물을 선출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예비후보들은 “좋은 정책을 구상해도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렵다”고 하소연하지만 대구 교육을 반듯하게 만들 수 있는 ‘좋은 정책’을 절실하게 연구해 내놓은 것이 있는지부터 돌아봐야 한다. 자치단체나 기업과의 교육협력, 점점 늘어가는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올해 시작되는 교원평가, 구별(區別) 교육환경 차이 해소 등 현안이 쌓여 있는데도 진지한 고민도 없이 핑계를 유권자에게 돌리는 태도가 걱정스럽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