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문사회]파멸 부르는 ‘증오의 삼각형’을 깨라

입력 | 2010-04-03 03:00:00

◇ 우리는 어쩌다 적이 되었을까?/로버트 J 스턴버그, 카린 스턴버그 지음·김정희 옮김/368쪽·1만5000원·21세기북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인을 피에 굶주린 괴물로 묘사한 미국의 신병 모집 포스터. 곤봉에 적힌 ‘Kultur’라는 단어는 독일 문화, 특히 나치시대 국민정신 고양에 사용된 정신문명을 일컫는다. 이처럼 상대를 위협적인 존재, 악행을 즐기는 도덕적 타락자로 묘사하는 과정을 거치며 사람들은 상대를 증오하게 된다. 사진 제공 21세기북스

나치의 유대인 홀로코스트,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벌어진 투치족 학살, 유고슬라비아 인종청소…. 이 모든 비극의 배경에 ‘증오(hate)’라는 감정이 있다. 증오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갑자기 돌변해 이웃집 사람들을 죽이고,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다.

평범한 사람도 악인(惡人)으로 만드는 증오는 어떻게 생기고 어떻게 작용하는가. 심리학자인 저자들은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증오의 발생과 전개, 그리고 이 증오가 어떻게 지속, 증폭되는지를 탐구한다.

이들은 증오라는 감정을 삼각형 모델로 설명한다. 사랑이 ‘친밀감-열정-결정·헌신’ 세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되듯이 증오 역시 ‘사랑의 삼각형’에 대비되는 ‘증오의 삼각형’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요소는 단 하나다. 친밀감 대신 ‘친밀감의 부정’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 박해 과정에 이 삼각형이 나타난다. 나치는 우선 유대인을 병균에 비유하거나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고 묘사하면서 혐오스러운 존재로 인식시켰다(친밀감의 부정). 이 혐오감은 대중연설, 시위, 퍼레이드, 영화 등 선전을 통해 분노와 두려움 같은 한층 더 강렬한 감정으로 번진다(열정). 나아가 사람들은 대중매체 통제나 검열,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 촉구를 겪으면서 유대인을 ‘인간 이하의 존재’로 평가절하하며 증오를 내면화한다(결정·헌신).

삼각형 모델의 각 요소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따라 증오의 형태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친밀감의 부정만 있을 경우 행동 없이 혐오감, 거리감 등의 감정만 나타난다. 하지만 이 감정이 헌신과 결합할 경우 혐오감은 더욱 강력해지고 감정이 행동으로 표출된다. 단, 열정은 결여돼 있기 때문에 순간 폭발하거나 격렬한 행동을 보이기보다 치밀하고 계획적인 암살을 통해 혐오하는 상대를 제거하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가 많다.

증오는 이야기를 가진다는 점에서 더 강력하다. 적을 낯선 사람, 권위주의자, 도덕적 타락자로 설정하거나 신에게 버림받았다거나 탐욕스러운 집단으로 묘사하는 등 증오를 정당화하는 일종의 이야기 구조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유대인 박해와 부족학살로 본
친밀감의 부정-열정-결정·헌신
증오 막으려면 편견 벗어나야
피해 입었을 경우 ‘용서’가 대안


르완다 대량학살의 비극은 르완다가 벨기에에 점령됐을 때부터 시작됐다. 벨기에는 통치 편의를 위해 소수민족인 투치족은 우월하고 다수민족인 후투족은 열등하다는 논리를 내세워 투치족을 지배층으로 내세웠다. 이전까지 평화롭게 함께 살던 두 부족의 관계는 악화됐다.

후투족 극단주의자들은 두 부족의 신화를 미묘하게 조작해 투치족을 오래전 르완다로 이주해온 이질적 인종으로 묘사했다. ‘낯선 사람’에 대한 증오를 부추기기 시작한 것이다(친밀감의 부정). 후투족 지도자가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나자 후투족은 이를 투치족의 소행으로 돌리고 라디오 방송으로 복수하라고 외치기 시작했다(열정). 투치족 군인들이 후투족을 살해해 인육을 먹거나 여자를 강간한다는 내용이 연일 라디오 방송을 탔다. 투치족을 ‘신에게 버림받았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들의 도덕적 타락을 강조해 증오를 정당화한 것이다. ‘아이들을 공격하는 탐욕스러운 전사’ ‘사회 조직을 위협하는 괴물’ 등의 이미지가 투치족에게 덧씌워졌다(결정·헌신).

증오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 증오의 삼각형을 깨야 한다. ‘친밀감의 부정’을 깨기 위해서는 상대에 대한 편견에서 벗어나야 한다. 편견은 불편한 감정을 낳고, 상대에게 친밀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두려움이나 분노 같은 잘못된 ‘열정’은 상대가 기존에 저질렀던 잘못에 위협을 느꼈거나 실제로 피해를 입었을 경우 나타난다. 저자들은 ‘용서’를 대안으로 내세운다. ‘결정·헌신’ 단계에 다다르면 사람들은 증오 그 자체에 사로잡혀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성적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