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동아일보 자료 사진
스포츠 스타에게 등번호는 제2의 이름이다. 현역 때 달던 등번호는 오랫동안 팬들의 기억에 남는다. 은퇴 후 업적을 기려 영구결번의 영광을 누리기도 한다. 호랑이가 죽으면 가죽을 남기듯 스타는 번호를 남긴다는 말도 있다. 국내 농구에선 고 김현준(10번), 김유택(14번), 허재(9번), 전희철(13번)이 있다.
동부 강동희 감독은 이런 얘기를 들을 때마다 가슴 한구석이 허전해진다. 그가 현역 때 달던 5번은 자신의 분신과 다름없다. 1990년 기아 입단 후 강 감독은 ‘5’자가 새겨진 유니폼을 입고 최고의 포인트 가드로 이름을 날렸다. 하지만 2001년 기아가 모비스에 인수된 뒤 이듬해 강 감독은 구단과 마찰을 빚은 끝에 LG로 이적해 2시즌을 더 뛰고 조용히 은퇴했다. 은퇴 당시 모비스는 팀을 떠난 강 감독과 여전히 껄끄러운 관계였고 LG에 몸담았던 기간은 짧았기 때문에 어디에서도 영구결번은 되지 않았다.
같은 포지션인 강 감독의 뒤를 이어 코트를 화려하게 수놓았던 이상민. 그는 현대와 KCC에서 10시즌을 뛰며 3차례 우승을 이끈 뒤 2007년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삼성으로 옮겨 3시즌을 뛰며 2차례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상민이 최근 은퇴를 선언하면서 등번호 11번의 영구결번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졌다. 열성 팬들은 KCC와 삼성 중 어디에서 영구결번을 해야 할지를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다.
영구결번 문제가 어떤 결론을 맺든 한 시대를 풍미하며 한국 농구를 빛낸 스타의 퇴장이 쓸쓸해서는 안 될 것 같다. 해당 구단을 떠나 한국농구연맹도 뭔가 머리를 맞대야 하지 않을까.
김종석 기자 kjs0123@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