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합리화 한계 드러내
군이 민간에 시설을 위탁하는 아웃소싱도 추진하고 있다. 군 병원은 당초 20개에서 2014년 이후 10개로 줄인다. 그 대신 나머지 공백은 민간병원이 담당한다. 국방부는 2008∼2012년 중앙복지시설, 이발소, 식당, 차량정비소 등을 민간에 위탁한다.
그러나 군 조직의 경영합리화는 곧 한계를 드러냈다. 국방부는 지난해와 올해 초 국군수도병원, 국군인쇄창, 육군2보급창, 해군보급창, 공군40보급창 등 5개 기관의 운영책임자를 민간에 개방했다. 새로 뽑힌 책임자들은 순수 민간인 출신은 없고 모두 전·현직 준장과 대령이었다. 군 내부는 지금까지도 “군의 특수성을 잘 아는 사람이 시설을 운영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국방부는 2012년까지 8개 분야 35개 기관장을 민간 등에 개방한다.
상부 보고를 철저히 준수해야 하는 군의 의사결정구조가 경영합리화에는 적합하지 않은 게 사실이다. 군은 실무자가 최초 기안서류를 내 육·해·공군 참모총장이나 국방부 장관 등 최종 의사결정까지 거치는 과정이 5, 6단계다. 군 조직 자체가 상명하달인 지휘구조로 돼 있어 팀제 등 민간의 조직운영방식을 택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작전 분야가 아닌 군수 인사 등 군 행정에는 민간의 노하우를 반영해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한 예비역 장성은 “(전역 후) 민간기업에 들어온 뒤 군의 의사결정이 너무 느리다는 데 놀랐다”며 “민간기업이 1년 반 걸릴 투자사업이 군에서라면 10년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종 기자 pen@donga.com
▼ 도움말 주신 분 (가나다 순) ▼
김경덕 전 국방부 국방개혁실장
김장수 전 국방부 장관
김희상 전 국가비상기획위원장
남재준 전 육군참모총장
남해일 전 해군참모총장
박승춘 전 합동참모본부 정보본부장
안광찬 전 국가비상기획위원장
윤 연 전 해군작전사령관
이상현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이춘근 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이한호 전 공군참모총장
전제국 전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정철호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전 공군대 총장)
최명상 전 공군대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