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아는 ‘교과서가 중요’활용방법이 점수를 가른다
전교 최상위권인 조예은 양의 자기주도 학습의 핵심은 ‘교과서’에 있었다. 조 양은 시험 전 학교에서 나눠준 학습 플래너에 과목별 교과서 공부계획을 꼼꼼히 기록한다.
《“수학은 답만 맞히면 된다는 생각으로 문제집만 많이 푸는 친구들이 있어요.
서술형 문제는 교과서에 나온 풀이과정이 곧 채점기준이거든요.
교과서 뒷부분에 실린 해설을 꼼꼼히 공부해야 감점 없이 만점을 받을 수 있어요.”
전교 최상위권인 서울 역삼중학교 3학년 조예은 양(15)은 이번 중간고사에서 상위 1% 성적을 받았다.
평소 자기주도 학습으로 내신시험을 준비하는 조 양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다름 아닌 교과서.
조 양은 “시험문제가 아무리 어려워도 수업시간에 배우는 교과서 범위 외에서 출제되는 문제는 없다”면서 “중간고사 대비 계획표(사진)에는 늘 ‘교과서 정리’ ‘교과서 재암기’ 항목이 들어 있다”고 말했다.
이번 1학기 중간고사 영어 서술형 9번 문제는 ‘your/eat/what/Balance/check/the food/you/and/food/choices/is/in’ 등 제시된 단어를 한 번씩 사용해 문장을 배열하는 것이었다.
배점이 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 문제의 답은 영어 교과서(천재교육) 2단원 본문에서 그대로 찾을 수 있었다.
조 양은 “영어교과서 본문은 반드시 외워서 시험 준비를 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문제를 풀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영어, 문장 구조를 이해하며 통째 달달… 다이얼로그-듣기대본이 ‘숨은 2인치’
‘교과서’가 중학교 내신시험의 기본이라는 사실은 상위권이나 그렇지 않은 학생이나 마찬가지로 해당된다. 하지만 ‘교과서를 어떻게 공부하느냐’에 따라 성적은 큰 차이를 보인다. 무작정 열심히 교과서를 들여다본다고 해서 누구나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교과서를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으로 내신시험을 준비하는 중학교 최상위권 학생은 교과서의 어느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할까? 중간고사 시험을 분석하며 교과서를 내신시험에 200% 활용하는 전략을 알아보자.
■ 영어내신, 교과서가 왕도(王道)다
사진제공 천재교육
조 양은 우선 교과서 본문과 본문에 딸린 단어를 외웠다. 수업시간에 교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던 부분은 반복해서 읽으면서 문장을 통째로 암기했다. 여기까지 평범한 학생의 공부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조 양이 잊지 않고 챙기는 것은 말하기·듣기 다이얼로그(dialogue)와 교과서 뒷부분에 실린 듣기 대본이다. 다이얼로그는 수업시간에 대화 형식으로 읽어보고 다시 살펴보지 않는 학생이 많다. 하지만 조 양은 이 지문이 고스란히 ‘다음 보기 중에서 대화가 자연스러운 것은?’을 고르는 문제의 보기로 출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꼼꼼히 공부했다. 실제로 이번 중간고사에서도 듣기 대본의 일부가 문제의 보기로 출제됐다.
긴 본문과 듣기대본을 무작정 ‘달달’ 외우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간혹 교과서를 이해하지 않고 통째로 외웠다가 단어나 시제가 바뀌어 나온 문제를 틀리는 학생들이 있다. 조 양은 “반복해서 지문을 읽으면서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외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조 양은 수업시간에 교사가 강조한 문장 위주로 문장의 구조와 중요한 문법을 생각하면서 외웠다. 시험 전에는 교과서에 빈칸을 만들고 빈칸을 채우는 방식으로 확인했다.
교과서가 기본이라면 영어 활동책(Activities book)은 수준별로 자신의 실력을 체크할 수 있는 보완 교재다.
천재교육에서 발간한 영어 활동책을 예로 들어보자. 단원별로 ‘Read&Do’ ‘Think&Write’ 등 교과서 본문을 점검할 수 있는 문제가 수준별로 3단계로 나눠 구성됐기 때문에 본문을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스스로 확인할 수 있다.
■ 수학문제유형, 교과서에 다 있다
서술형 평가가 확대되면서 수학은 교과서의 풀이과정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교과서의 문제가 약간씩 변형되어 서술형으로 출제된 문제는 풀이과정을 얼마나 충실하게 쓰느냐에 따라 점수가 달라진다. 조 양은 “교과서의 주요 예제는 따로 마련한 공책에 서술형 문제라고 생각하고 풀이과정을 정리했다”면서 “이렇게 확실하게 연습하면 유형이 바뀌어도 풀이과정을 정확하게 쓰는 것이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봉아름 기자 er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