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단체에 주는 보조금 관리가 구멍투성이다. 감사원이 모처럼 뒤져본 결과 국민 세금으로 조성된 보조금은 ‘먼저 본 사람이 임자’였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은 2006, 2007년 문화예술위원회로부터 보조금 19억여 원을 받아 34개 사업을 진행했다. 회계담당 팀장 김모 씨는 가짜 영수증을 제출하는 수법으로 5억 원 가까이를 횡령해 개인 용도로 썼다가 감사원 감사에 걸렸다. 또 모 단체 간부 김모 씨는 보조금 11억여 원을 받는 과정에서 2억8000여만 원을 횡령했다.
▷올해 문화부 예산 3조1700억 원의 32%인 1조220억 원이 민간단체 보조금이다. 1967개 단체 3800여 건의 사업에 국고가 지원되고 있다. 보조금 나눠주기가 문화부의 핵심 업무인 셈이다. 2006∼2008년 지원사업의 경우 ‘담당부서의 필요’(전체의 48%)에 따라 공무원이 ‘임의로’(45%) 선정했다. 사업규모도 민간단체나 공무원이 결정한 것이 89%나 됐다. 행정안전부가 연간 300여억 원의 보조금을 사회적 수요 파악, 선정 기준 명시, 별도 위원회를 통한 공개경쟁 방식으로 지원한 것과 대조적이다.
홍권희 논설위원 konih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