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시민단체들은 겉으로 내세운 명분만 보면 환경 여성 교육 노동 인권 등 다양한 분야로 나눠진다. 그러나 속살을 들여다보면 친북좌파 이념에 기초한 정치투쟁 단체들이 시민운동을 휘젓고 있다. 참여연대가 천안함 사건에 관한 인터넷 괴담 수준의 의혹들을 짜깁기한 서한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들에 보낸 것도 이러한 좌파 정치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들의 반미 연대투쟁은 2002년 효선·미순 양 사건, 2004년 이라크 파병, 2006년 미군기지 평택 이전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을 계기로 강화됐고 2008년 광우병 촛불 시위로 절정을 이뤘다. 이념과 정파성이 같은 좌파단체들은 수백 개로 분화됐다가 행동의 장(場)만 마련되면 ‘대책회의’ ‘범국민운동본부’ 같은 간판 아래 모여 반미와 반정부 투쟁을 벌이는 패턴을 반복한다. 광우병국민대책회의에는 1840개가 넘는 단체들이 가담했다. 좌파 단체들은 4대강 사업 반대나 천안함 사건 조작설을 퍼뜨리는 일에서도 찰떡 연대를 과시한다.
이런 단체들일수록 세계 최악인 북한의 독재와 인권유린은 철저히 외면한다. 이들이 한국 정부를 매도하는 집요함의 100분의 1만이라도 북한의 문제점을 지적한다면 균형성이나 책임감을 조금이라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불교환경운동을 하다 최근 잠적한 수경 스님은 자성(自省)의 글을 남겼다. “환경운동이나 NGO 단체에 관여하면서 모두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한 시절을 보냈다. 비록 정치권력과 대척점에 서긴 했지만 그것도 하나의 권력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시민단체의 본령은 정부가 할 수 없는 분야에서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며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