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왔어요?”
호텔 방만 나가면 받는 질문이다. 인종, 성별, 나이에 상관없이 남아공 사람들은 기자를 보면 약속이나 한 듯 이렇게 묻는다. “그렇다”고 하면 되돌아오는 반응도 똑같다. “한국 축구 정말 놀랍다. 한국은 승리할 자격이 충분하다.”
○ 기자에게 “박지성 대신 사인 좀”
이 모든 게 태극전사들이 12일 포트엘리자베스에서 그리스를 2-0으로 꺾은 뒤 생긴 변화다. 경기가 끝난 뒤 며칠이 흘렀고, 포트엘리자베스가 아닌 대표팀 베이스캠프 장소 루스텐버그로 넘어왔음에도 ‘코리아 바이러스’는 여전히 남아공 전역에서 유효했다.
주유소 직원인 벤슨 음탕가 씨(23)는 기자를 보자 대뜸 사인을 요청했다. 이유를 묻자 “한국 경기를 본 뒤 박지성의 팬이 됐다. 그에게 사인을 받고 싶은데 그럴 수 없으니 한국에서 온 당신 사인이라도 대신 받아야겠다”는 게 그 대답이었다. 레스토랑에서 일하는 모건 사와라 씨(37)는 아예 한국 대표팀의 붉은 유니폼을 입고 있었다. 그는 “지금까지 본 경기 중 한국 선수들의 플레이가 가장 감동적이었다. 그래서 일주일 치 월급을 털어 유니폼을 샀다”며 활짝 웃었다.
외신 기자들 사이에서도 한국은 화제다. 프레스센터, 각국 대표팀 훈련장 등에서 만난 기자들은 “한국이 원래 그렇게 잘했나” “톱니바퀴 같은 조직력의 비결이 뭐냐” 등 질문을 쏟아냈다.
○ 동양인만 보면 “코리아 코리아”
부부젤라 소리에 붉은 악마의 응원 소리가 묻혔다. 하지만 태극전사들이 전반 초반 선제골을 뽑은 뒤 계속 멋진 플레이를 이어가자 이내 그라운드는 한국 응원 소리로 가득 찼다. 붉은 악마의 ‘대∼한민국’ 환호와 부부젤라 소리가 하모니를 만드는 흐뭇한 모습까지 연출됐다.
―루스텐버그에서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