吾友張也의 也는 어떤 화제를 거론할 때 사용하는 조사로 ‘∼로 말하면’이다. 爲難能也에 대해 조선시대 교정청본은 ‘남들이 자장처럼 잘하기 어렵다’로 풀이했으나 李植(이식)은 ‘남이 하기 어려운 일을 자장은 잘한다’로 해석했다. 이를테면 은나라 말기에 比干(비간)이 바른말을 하다가 죽은 일이나 箕子(기자)가 거짓으로 미친 척한 일은 모두 남이 하기 어려운 일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未仁은 아직 인을 이룰 수 없다는 말이다.
자장은 성이 전孫(전손), 이름이 師(사)로, 공자보다 48세 적었다. 陳(진)나라 사람이다. ‘爲政’편에서는 벼슬 구하는 법을 공자에게 여쭈었다가, 많이 듣고 의심나는 것은 빼놓는 多聞闕疑(다문궐의)와 많이 보고 위태로운 것은 빼놓는 多見闕殆(다견궐태)를 실천하여 후회도 없고 허물도 없게 되면 저절로 벼슬길이 열리게 되리라는 충고를 들었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