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곳곳 역사와 휴식공간 공존
재앙에 가까운 이런 도시와 비교할 때 서울은 옳은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1990년대 서울에서는 버젓한 숙소를 찾기가 쉽지 않았고 걸어 다니거나 차를 운전하는 일도 모험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것이 변했다. 최근 몇몇 서울시장이 추진해온 서울 재창조의 이념은 단순하면서도 힘이 넘친다. 서울의 역사적 중심을 보존하고 놀이와 휴식 공간을 새로 만드는 것이다. 이런 전략에 따라 서울의 일상이 향상됐다는 사실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베이징과는 완전히 딴판이다.
이런 집중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현 서울시장은 민간 개발업체와 협력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그 자체가 하나의 작은 도시로서 기능하는 거대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의 건설이 그것이다. 이 초고층 건물에는 주거공간과 사무실, 학교와 병원 등 공공시설, 여가장소가 모두 들어간다. 이런 수직적 집중을 통해 부족한 용지에 여유를 주고 서울의 풍경을 보존하며 이 도시의 역사성을 지키는 것이다.
현재 3개의 단지가 추진되고 있다. 올림픽경기장 주변과 용산, 미래 디지털미디어시티의 서울라이트타워가 들어서는 상암동이다. 특히 용산은 미국의 세계적 건축가 대니얼 리베스킨드가 디자인한 것으로 미군 주둔기지의 철수라는 조건과 맞물려 있다.
남산 봉수대에서 영감을 얻었다는 서울라이트타워의 모형을 바라보면서 나는 유럽인이나 미국인이 높이 540m의 초고층건물에 살고 싶어 할지 자신이 없다. 특히 2만5000명이 거주하면서 사무실과 상점까지 고려할 때 5만 명의 방문객을 받아들일 수 있는 그런 공간에서 말이다.
5만 수용 초고층건물 추진 인상적
이 새로운 도시의 비전 속에서 나는 서울을 넘어 아시아의 대도시를 위해 가치가 있는 모델을 본다. 중국에서는 앞으로 30년간 3억 명의 농민이 도시로 밀려들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개념의 메이드 인 코리아, 즉 아시아의 메트로폴(M´etropole)이라고 불리는 상품을 팔게 될 날이 올 것이다.
기 소르망 프랑스 문명비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