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는 올해 연구개발(R&D) 인력을 1000명 뽑을 예정인데 상반기에 600명 확보에 그쳤습니다. 지원자는 많지만 고급인력이 부족하고 현업에 바로 투입하기 곤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삼성전자도 3000명의 R&D 인력을 구하느라 동분서주하고 있습니다. 1200명을 찾아 나선 LG전자도 "스마트 시대에 투입할 인력이 부족하다"고 하소연합니다.
전기자동차 친환경차 스마트정보기술 등 첨단 신사업 분야의 R&D 인력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지식경제부는 2013년까지 IT분야 석박사급 R&D 인력이 1200여 명 모자라며 소프트웨어 석박사급 인력은 1만 명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고급인재의 해외유출도 여전합니다. 한국의 두뇌유출지수는 올해 57개국 중 42위였습니다. 경제규모는 커졌지만 고급인력이 해외로 나가려고 하는 정도가 중국 인도와 비슷한 수준이죠. 국내 이공계 박사의 36%가 국외 이주 의향이 있다고 합니다. 고급두뇌를 붙잡을 여건을 만들어야 합니다. 한편으로는 세계 R&D 인력의 4%만 활용하는 우리나라가 해외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도 있습니다.
산학협력의 모범사례가 더 널리 파급돼야 합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중소기업이 밀집돼 있는 경기 안산시 시화산업단지 안에 있는 한국산업기술대는 엔지니어링 하우스에서 40여개 회사의 연구원과 학생들이 24시간 연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한양대 안산캠퍼스는 테크노파크를 통해 60여개의 벤처기업에 기술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 경쟁력,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고급인재, 맞춤형 인재 확보에 역점을 둬야할 때입니다. 동아논평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