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이런 질문을 자주 받는다. 초면인데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도 있다. 처음엔 무심코 대답하다가 이제는 그냥 씩 웃고 만다. 아니면 경제지나 스포츠신문을 본다고 말한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무척 곤혹스럽다. 질문한 상대방과 내가 서로 다른 성향의 신문을 보고 있다고 확인되면 대화가 갑자기 끊기거나 전체 분위기가 서먹해진다. 서로 친해지려고 만났다가 오히려 관계가 악화되는 지뢰를 만난 셈이다.
구독하는 신문을 사람의 사회적 정치적 성향을 파악하는 잣대로 삼기 때문이다. 보수적 신문을 구독하는가, 진보적 신문을 구독하는가에 따라 개인의 이념적 성향마저 그렇게 구분되고 만다. 나아가 그러한 구분이 인간관계의 형성 여부를 판단하고 결정짓는 데 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신문이 보수든 진보든 또는 중도든 여러 갈래의 성향으로 나눠지는 것은 당연하다. 민주와 자유의 질서가 신봉되는 사회에서 전체 언론이 한목소리를 낼 수는 없다. 문제는 사회 구성원이 신문을 잣대로 서로를 경원시하거나 반목하는 데에 있다. 다른 의견을 수용하지 못하고 대립함으로써 서로를 배척하고 공격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보수-진보 이념적 편가르기 잣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데가 바로 인터넷이라는 광장이다. 그 광장에서 익명과 은닉의 우산을 쓰고 서로 갖은 공격을 일삼는다. 정보화시대라는 미명하에 우리는 이미 인격과 국격이 담보 잡힌 시대를 살아간다. 내 의견과 다르면 다 나의 적이 되는 시대를 살아야 한다면 그런 시대를 사는 국민은 무척 불행하다. 우리는 그런 불행의 시대를 스스로 만들어가고 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사람은 단 한 권의 책만 읽은 사람이라고 한다. 어쩌면 단 하나의 신문만 탐독하는 사람도 ‘가장 무서운 사람’ 축에 들지 않을까 싶다. 요즘은 집에서 구독하지 않는 신문도 인터넷을 통해 얼마든지 읽어 볼 수 있다. 신문이 하나의 사안을 놓고 극명하게 다른 시각에서 보도하고 논평할 때 이 시대의 저울처럼 균형감각을 잃지 않으려면 독자인 나 자신이 현명해져야 한다. 미국 전 상원의원 패트릭 모이니헌이 말한 대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누구나 ‘자기의 의견’을 가질 수 있지만 ‘자기만의 사실’을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더욱 그렇다.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된 대인관계를 형성하려면 묻지 않는 게 바람직한 몇 가지 사항이 있다. 정치 종교 고향 학력에 관한 사항이다. 초면에 몇 학번이냐고 물었는데 상대방이 고졸 학력이라면 어떡할 것인가. 결혼이나 자녀에 관한 질문도 가능한 한 하지 않는 게 좋다. 나는 불임으로 고통 받는 부부에게 자녀를 몇이나 두었느냐고 물었다가 미안해 쩔쩔맨 적도 있다.
얼마 전 김천 직지사 대웅전에 들러 부처님께 삼배했다. 절을 하고 나오자 누가 나보고 “종교가 가톨릭 아니냐”고 묻는다. 왜 가톨릭 신자가 부처님께 절을 하느냐, 이해하기 어렵다는 표정이었다. 내게 그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수가 내 인생의 스승이라면 부처님 또한 마찬가지다. 내 문학의 스승을 만나도 엎드려 절을 올리는데, 내 인생의 스승인 부처님 앞에 절을 올리고 예를 갖추는 것은 잘못된 일이 아니다.
강물처럼 함께 흘러갈 수 없을까
김수환 추기경과 법정 스님만 해도 명동성당과 길상사를 오가며 강론과 법문을 하지 않았는가. 그분들은 우리에게 서로 싸워 벽이 되지 말고 사이좋게 강물처럼 함께 흘러가라고 몸소 그런 모습을 보여주셨을 것이다. 그런데 요즘 우리는 왜 이렇게 나누어지고 갈라져서 내 편, 네 편을 따지는가. 두 사람이 똑같은 걸 보면서도 그것을 서로 다르게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왜 인정하지 않는가.
정호승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