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변만화 벽화의 위용도 몰려드는 인파에 ‘몸살’
불교벽화의 진수를 드러내는 아잔타석굴 중 17번 석굴의 벽화 일부. 무역상인 심할라(왼쪽 위 흰 코끼리를 타고 머리에 관을 쓴 인물)가 관세음보살의 도움을 얻어 가까스로 목숨을 구한 뒤 자신의 아버지와 왕국을 몰살한 괴물들을 섬멸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나서고 있다. 동물들의 세부묘사가 뛰어나다.
○ “시스티나 성당은 잊어버리렴”
바닥 등이 은은히 뿜어내는 옅은 주황빛 너머로 관세음보살과 사람 동물 그리고 온갖 화초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1500년을 견뎌낸 벽화는 석가모니 부처의 전생 이야기인 자타카(Jataka)를 주로 묘사했다. 시간의 더께가 내려앉아 색감은 다소 흐릿하지만 그럼에도 화려한 색이 어우러졌다.
몬순의 습기를 담뿍 머금은 동굴 밖 길을 따라 다음 동굴로 또 다음 동굴로 걸음을 옮기니 숨이 차오른다. 만다라처럼 얽혀드는 벽화의 향연에 취한 듯하다. 전날 아잔타 석굴 관리를 맡고 있는 인도 문화부 산하 고고학탐사위원회(ASI) 현장소장의 말이 생각났다. ‘시간적 여유가 없어도 꼭 봐야 할 석굴은 어디냐’는 질문에 수부라만얌 박사는 “1, 2, 16, 17번을 보세요. 이 벽화야말로 아잔타 석굴의 정수입니다”라고 답했다.
아름다움만이 전부는 아니다. 온몸을 덮치는 건 경이로움과 전율이다. 아잔타 석굴 벽화를 동굴 속에 어렴풋이 비치는 자연광만으로 찍은 사진집을 1998년 펴낸 인도의 사진작가 베노이 K 벨은 “아잔타벽화는 르네상스 시기 유럽에서 꽃피운 프레스코 벽화에 비견된다”고 말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작가 네이딘 고디머 씨는 1997년 아잔타 석굴을 둘러본 뒤 이런 글을 남겼다. “친구들에게 시스티나 성당은 잊어버리고 아잔타 석굴을 보라고 하겠다.” 이탈리아 시스티나 성당에는 미켈란젤로의 천장화 ‘천지창조’와 벽화 ‘최후의 심판’이 있다.
○ 호랑이를 잃고 보물을 찾다
스미스 대위 일행이 강을 건너 절벽을 기어올라 들어간 동굴은 10번 석굴. 기원전 1세기경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석굴이다. 그들 일행을 맞이한 건 박쥐 떼와 인간의 유골 및 동물의 뼈, 바닥에 수북이 쌓인 재와 낙엽이었다. 곧 그들은 코끼리 양 등이 조각된 기둥과 벽화를 발견했다. 그러나 그들이 더욱 놀란 건 바로 이 석굴이 자연 동굴이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인간이 만든 작품이라는 점이었다.
29개의 석굴은 전기에 6개, 후기에 23개가 만들어졌다. 기원전 1세기∼서기 1세기 불교 초기 히나야나(Hinayana) 시대에 현재의 9번과 10번(기도하는 곳) 및 8, 12, 13, 15번(수도하는 곳)이 건설됐다. 이후 서기 5세기 중엽∼6세기 초 인도 중부의 제국 바카타카의 하리세나 왕 지휘 아래 두 번째 석굴이 추가로 만들어졌다.
먼저 끌과 망치를 든 석공이 절벽 위에서 줄을 타고 내려갔다. 줄에 매달린 석공들은 천장이 될 부분에서 아래로, 또 앞에서 뒤로 쪼아나갔다. 무작정 빈 공간을 파내는 것이 아니라 기둥이 되고 스투파(탑)를 만들 암반, 수도승의 공간과 침상을 만들 암반은 남겨 놓았다. 사전에 정밀한 설계가 없이는 불가능한 작업이었다.
석공이 기둥과 벽면의 부조까지 다 새기고 나면 화공이 줄을 타고 내려왔다. 이들은 석굴 주변의 숲에서 얻을 수 있는 고령토와 석회석(흰색), 대자석(代자石·붉은색과 노란색), 해록석(海綠石·녹색), 검댕(검은색) 그리고 청금석(靑金石·청색)으로 여섯 가지 색을 만들고 이를 혼합해 천변만화(千變萬化)의 벽화를 그려냈다.
○ 아잔타 최대의 도전은 ‘보존’
5세기 말 하리세나 왕이 갑자기 숨지고 힌두교에 밀린 불교가 쇠퇴하면서 아잔타 석굴은 잊혀졌다. 역설이지만 잊혀졌기 때문에 지금의 석굴과 벽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황은 달라졌다. 고고학탐사위원회(ASI)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아잔타 석굴 관람객은 약 39만 명(인도인 36만, 외국인 3만 명). 하루 평균 1000명 이상이 석굴을 찾은 셈이다. 이들이 아잔타 석굴을 위협하는 최대 요인 중 하나다.
물론 ASI와 지방정부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차량 매연이 석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유적 1.6km 이내에서는 천연가스버스만 운행한다. 관광객은 바닥 보호를 위해 신발을 벗고 석굴에 들어가야 한다. ASI 관계자는 “지역과 기후 때문에 석굴에 물이 새거나 암반이 갈라지는 등 문제가 있지만 관람객이 많아서 벽화가 피해를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카메라 플래시를 터뜨리게 하고 돈을 받는 모습도 보였다. 또 석굴마다 하루 관람객 수를 제한하고 귀중한 벽화는 모조품을 만들어 그것만 보게 하자는 ‘급진적’인 제안까지 나오는 마당에 ASI의 상황 인식이 올바른지는 의문이다.
유네스코 델리 사무소의 니콜 볼로메이 문화국장은 “아잔타 석굴은 관광과 지역, 그리고 보존의 트라이앵글 안에 있다”고 말한다. 인류 보고인 석굴의 진수를 감상하게 하는 것이 관광이라면 지역은 이를 통해 실리를 얻으려고 한다. 이 틈바구니에서 유산을 지켜내기 위해 누군가는 안간힘을 써야 한다. 세 꼭짓점이 최대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아잔타 석굴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인 셈이다.
글 · 사진 아잔타(인도)=민동용 기자 mindy@donga.com
이 시리즈 기사는 유네스코의 협조하에 동아일보의 판단과 관점을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일반 정보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whc.unesco.org) 및 유네스코한국위원회(unesco.or.kr)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왼쪽)연꽃을 들고 인자한 모습을 보이는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1번 석굴 벽화.(가운데)4번 석굴 본존불상. 부처가 최초로 설법할 때 했다는 손모양(설법인)을 취했다. (오른쪽)기도하는 장소인 19번 석굴. 중앙의 스투파에 부처의 부조가 이채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