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에 따르면 군주가 省刑罰(생형벌·형벌을 줄임)과 薄稅斂(박세렴·세금 거둠을 적게 함)의 仁政을 행하고 奪其民時(탈기민시)하지 않는다면 백성들은 그 군주를 존중하게 된다. 만일 군주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백성들은 도탄에 빠져 윗사람을 원망하여 仁政을 베푸는 이웃나라 군주가 와서 자기 군주의 죄를 바로잡아 주길 고대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상서’, 즉 ‘서경’의 ‘武成’편에 보면 주나라 武王이 殷(은)나라 紂(주)왕을 정벌할 때 牧野(목야)의 전투가 하도 치열해서 ‘피가 철철 흘러 절굿공이가 떠내려갔다’는 말이 있다. 맹자는 仁者無敵의 뜻을 미루어 포악한 자를 정벌하는 데 전투가 그토록 치열했을 리 없으니 이는 과장된 말이라고 단언하기까지 했다.
양혜왕은 仁者無敵의 취지를 수용할 만한 군주가 아니었다. 맹자가 “왕께서는 청컨대 의심하지 마소서”라고 한 것은 그 심리를 꿰뚫고 있었기 때문이리라. 슬프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