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A 씨는 자녀가 다니는 고등학교 방과후 수업 목록을 보고 놀랐다. ‘올림피아드 준비반’ ‘개념수학’ ‘수능대비 논술’…. 학원들의 수강편람을 연상시키는 과목 이름이었다. 가격도 만만치 않다.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이 공개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현황에 따르면 월 수강료가 10만 원 이상인 프로그램이 700개를 넘었다.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과목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이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방과후 수업은 다양한 사교육 수요를 학교로 흡수해 공교육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이런 식이라면 장소만 학교를 이용하는 학원과 같다. 초등학교는 예체능 등 특기 적성 과목이 70%가량 된다. 하지만 중고교로 갈수록 특목고 수학반, 종합 교과 등 사실상 학원 프로그램을 옮겨놓다시피 했다. 이런 방과후 수업은 1970, 80년대 현직 교사들이 시행하던 보충수업과 다를 바 없다. 교사들이 자기 책임을 다하지 않고 주요 과목 수업을 외부 강사에게 맡긴다는 비판도 나온다.
특히 과목당 수강료가 30만∼40만 원에 이르러 저소득층을 주 타깃으로 개설된 방과후 수업에서도 저소득층이 소외돼 교육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차상위 계층의 20%는 방과후 수업 강좌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바우처(자유이용권)를 연간 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나 이 정도 금액으로는 들을 만한 강좌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