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 시설물은 주민친화형 개선… 시외는 방치경기-인천 “악취-교통난 대책 내놔라” 갈등 증폭
생활하수 처리시설 공간이었던 서울 강남구 일원동 탄천물재생센터에는 최근 복개사업을 거쳐 공원과 실개천 등 시민 휴식공간이 조성됐다. 사진 제공 서울시
○ 서울시내 혐오시설은 주민 친화시설로 변신
탄천물재생센터에는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첨단시설의 체험관과 어린이놀이터가 지난해 말 만들어졌다. 하수가 맑은 물로 변해가는 각 과정을 현미경 등으로 배울 수 있다. 노원구의 쓰레기소각장에는 2008년 말 환경학습관이 만들어져 학생들이 환경순환과정을 쉽게 배울 수 있다. 광진구의 자양유수지는 오수에서 발생한 악취로 악명을 떨쳤다. 하지만 2008년 복개공사가 진행되고 그 위에는 배드민턴장과 농구장 등이 설치돼 주민 편의시설로 거듭났다. 성동구의 중랑물재생센터에는 200kW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했다. 에너지 순환형 모델을 만들어 학생들의 견학에 활용하고 있다.
명절 때마다 상습정체 지역으로 손꼽히는 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서울시립묘지 일대. 동아일보 자료 사진
○ 심상치 않은 반발 기류
경기 고양시의회는 5일 ‘서울시 운영 주민기피시설 대책 특별위원회’ 명의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최성 고양시장도 공개질의서를 통해 주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서울시의 지원을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인천은 이보다 강도가 더 높다. 수도권매립지의 매립면허를 놓고 서울시와 갈등을 빚는 터라 아예 매립면허권을 인천이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인천 서구 강화갑 이학재 국회의원(한나라당)은 “지역 주민의 피해를 고려할 때 2016년 매립이 끝나면 (매립면허를 확보해) 일대를 주민 편의 공간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민배 인하대 법대 교수는 “지금의 갈등이 지속되면 장차 ‘쓰레기 대란’ 등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위험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이동영 기자 arg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