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공감대 부족-사업 타당성 미흡 따라 대책 마련, 김두관 지사 등 오늘 연해주 방문… 당장 폐기 안할듯
경남도가 러시아 연해주 현지 농장 50ha를 임차해 콩을 심은 시험농장 전경. 곧 수확을 시작한다. 사진 제공 경남도
경남도 관계자는 19일 “4년 전부터 연해주 경남농장을 추진했으나 사업 목적과 방향에 대한 구체성이 떨어지고 도민의 공감대 형성도 부족했다”며 “이번 방문을 통해 정확한 방향을 설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남도는 김 전 지사 시절 “지구 온난화와 국제 곡물가격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안정적인 식량 전진기지를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연해주 농장은 필요하다”며 “특히 넓은 러시아 토지, 북한 노동력, 한국 자본과 기술력을 결합하면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향후 대(對)북한 관계 개선과 한반도종단철도(TKR),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연결로 인한 파급효과가 크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우선 3000ha(약 90만 평)에 보리와 콩, 옥수수를 재배한 뒤 규모를 늘려 나갈 계획이었다.
이 같은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김 지사가 당장 연해주 사업을 폐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벼와 콩 등 식량작물을 현지에서 재배하기보다는 수요가 늘어나는 사료작물을 심어 국내에 들여오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 도 농업지원과 관계자는 “국내 및 경남지역 한우와 젖소 사육농가에 조 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연해주에서 사료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며 “현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민 공청회도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해주 경남시험농장 50ha(약 15만 평)에는 콩이 심겨져 있다. 21일을 전후해 수확을 시작할 계획이다. 파종 직후 기상이 좋지 않았으나 후기 생육이 나아져 수확량은 현지 농장들보다 약간 많을 것으로 경남도는 예상한다. 경남도 허성곤 농수산국장은 “연해주 경남농장 개발을 4년간 추진하면서 위험요소를 줄이기 위해 시험포와 시험농장을 운영했다”며 “불안정한 현지 영농여건과 국내 반입 제약 등 걸림돌이 많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