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준공되는 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KTX 신경주역(왼쪽)과 경북 김천시 남면 옥산리 KTX 김천(구미)역. 사진 제공 경주시 김천시
경주시는 30, 31일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경주 관광 르네상스’ 행사를 연다. 현재 경주역에서 서울역까지 새마을호 열차를 탈 경우 4시간 40분 걸리는 것이 고속철로는 2시간 만에 갈 수 있어 수도권 관광객이 몰려올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이 행사에는 주한 외국대사, 외국인 관광객, 초중고교 교장단, 여행작가 등 1000여 명이 참가해 경주 남산과 세계문화유산인 양동마을 답사 등을 할 예정이다. 고속철 개통이 경주 관광의 큰 전환이 되도록 매력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는 것을 선포하는 셈이다.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에 건립된 신경주역에는 KTX가 주중 37회, 주말 47회 정차할 예정이다.
김천시는 ‘국토의 중심’이라는 도시 슬로건이 KTX 역을 계기로 현실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김천(구미)역이 있는 남면 옥산리까지 오가는 버스를 하루 100여 편 마련했다. 김천(구미)역에는 주중 36회, 주말 44회 정차할 예정이다.
그러나 김천∼서울을 1시간 15분 만에 갈 수 있는 교통이 김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특히 역사 인근에 조성 중인 혁신도시(경북드림밸리)가 큰 관심거리다. 김천시로서는 혁신도시에 KTX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이곳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직원들이 수도권에서 출퇴근하는 경우가 늘어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박보생 김천시장은 “KTX가 교통중심지로서 김천의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교육과 문화 기반을 개선하고 편리한 연계교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역 이름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김천과 갈등을 빚었던 구미는 기대감보다는 불만스럽다는 분위기가 많다. 김천(구미)역 때문에 현재 구미역에 하루 8회 정차하던 KTX가 없어지는 데다 승용차로 갈 경우 30분가량 걸려 별 매력이 없다는 것이다. 구미시는 역사까지 하루 80회 오가는 버스를 마련했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