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근차근 ‘6단계’ 따라 전략세워라
수능 가채점을 하고 나면 많은 수험생이 자신이 기대했던 것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생각한다. 자신감을 잃으면 판단력이 흐려지기 마련. 반대로 수능 원점수만을 고려해 과도한 자신감을 갖게 될 수도 있다. 수험생은 보통 각 입시기관이 가채점을 기준으로 낸 배치표에 따라 각 대학의 정시 합격선을 가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치표는 최근 3개년 간의 입시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무엇에 기준을 두고 배치했느냐에 따라 각 기관마다 차이가 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불안한 수험생은 가장 높은 기준의 배치표를, 낙관적인 수험생은 가장 낮은 기준의 배치표를 참고하면서 실제 정시 합격선과 동떨어진 판단을 할 때가 많다.
수시 전형에 합격하면 정시 전형엔 지원할 수 없으므로 문제가 생긴다. 마음이 불안한 학생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총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수시 2차 전형에 하향지원하다가 상위대학에 지원조차 못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반대로 너무 낙관하다가 본인에게 정작 유리한 전형의 지원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또한 영역별 표준점수의 편차에 따라 대학별 환산 점수의 형태나 입시전략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학생들은 자신의 수능 원점수뿐 아니라 각 입시기관이 제시하는 영역별 표준점수도 눈여겨봐야 한다.
각 입시기관의 배치표를 맹목적으로 신뢰하거나 무시하는 태도 역시 버려야 한다. 여러 기관의 자료를 비교하면서 희망대학 지원자들 사이에서의 자신의 객관적 위치를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수능을 치른 뒤에는 자신의 진로나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총체적이고 심도 있는 고민을 해야 한다. 지원 학과를 오해해 잘못된 지원을 하고 나중에 후회를 하는 수험생도 종종 있다.
수능이 끝난 뒤 수험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고민을 전개하는 것이 좋다. 가채점 결과에 따른 예상 백분위 확인→예상 표준점수 환산 점수 확인→백분위 성적과 표준점수의 유·불리 따져보기→정시 모의 지원을 통한 합격 가능성 판단→수시 전형에 지원한 대학의 논술, 면접 전형 응시 여부 판단→수능 이후의 원서 접수 대학 지원 여부 판단 등이다.
끝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수능을 마친 수험생들은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입시는 이제부터다. 앞으로도 많은 수시, 정시 전형이 남아있다. 이 시기는 새로운 전략 수립을 위한 출발선임을 잊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