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매수는 한국 증시 전반에 관한 부분과 업종별 영향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우선 한국 증시에 대한 순매수 기조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그 속도는 단기적으로는 둔화될 수 있다. 2001년 이후 2005년 초까지 외국인은 한국 시장에서 주식을 사들였지만 그 뒤부터 미국발(發) 금융위기의 여파가 정점에 달했던 2009년 초까지 약 82조 원의 주식을 팔았다. 이후 최근까지 약 52조 원의 주식을 매수했다. 단순히 합산하면 외국인은 회수했던 금액의 약 63%만을 다시 한국 주식시장에 투입한 셈이다.
여기에 미국의 2차 양적완화정책의 영향으로 선진국의 자금이 일부분 신흥국 증시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고려하면 외국인의 한국 주식 매수 기조는 좀 더,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11·11 옵션만기일 충격 이후에도 외국인 순매수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이러한 점을 뒷받침한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1100원대 중반으로 달러에 대한 원화 강세 속도가 둔화됐다는 점, 아일랜드 재정적자 우려나 중국의 긴축우려 등 거시경제 측면에서의 부정적 요소들이 투자심리를 약화시키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외국인 순매수의 속도는 단기적으로 둔화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삼성전자를 비롯한 IT업종을 대량 매수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띄는데 IT업종의 업황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올 4분기나 내년 1분기 이전에 미리 주식을 선점하려는 의도로 판단된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업종도 올해보다는 내년의 이익개선이 기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외국인의 매수세 유입을 기대해 볼 만하다. 결국 외국인 매수의 변화를 고려한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김철범 KB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