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겸 사학자 송우혜 씨, 대한제국 다룬 3부작 역사서 펴내
《10여 년 전 소설가 송우혜 씨(63·사진)는 ‘순종실록부록’에 실린 1911년 7월의 기록을 읽다가 한 대목에 눈길이 머물렀다.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인 이은(李垠)에 관한 얘기였다. 일본에 끌려간 이은이 최상류층 자제들이 다니는 가쿠슈인(學習院)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는 내용이었다. 송 씨는 “소년 이은이 일본 학생들에게 지지 않으려고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을 모습이 생생하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송 씨는 이은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2003년 이화여대 사학과 대학원에 진학한 송 씨는 ‘이은의 정략결혼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9년 박사과정을 마친 뒤에도 여전히 이 주제에 천착하고 있다.》
1권 ‘못생긴 엄상궁의 천하’에선 이은의 생모인 엄귀비를 다뤘다. 민비를 모시던 상궁에서 ‘황귀비 엄씨(엄귀비)’의 지위에 오른 인물이다. 송 씨에 따르면 엄귀비는 타고난 배포와 지략으로 고종을 보위하면서 궁궐 안팎의 일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고종을 자신의 가마에 태워 몰래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시킨 ‘아관파천’의 주역이기도 하다.
초대 조선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왼쪽)와 황태자 이은. 이토는 대한제국을 삼키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이은을 일본에 ‘인질’로 데려갔다. 사진 제공 푸른역사
이 대목에서 송 씨는 한 가지 궁금증을 가졌다. 고종의 곁에서 권세를 누리던 엄상궁이 왜 위험을 무릅쓰고 아관파천을 주도했느냐는 것이다. 송 씨는 “이 의문 뒤에는 우리 역사가 챙기지 않은 정화당 김씨라는 여인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민비 시해 이후 새 왕후로 간택됐던 여인이다. 새 왕후 간택은 시해사건을 묻어버리기 위해 일제가 서둘러 추진했던 일이다. 송 씨는 “새 중전이 들어오면 자신의 위치가 흔들릴 것을 우려했던 엄상궁은 친일파 세력을 일시에 괴멸하면 새 왕후 가례가 없던 일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해석했다. 그 이유로 아관파천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이은의 생모인 황귀비엄씨. 명성황후의 상궁이었다가 고종의 눈에 들어 황귀비의 자리에까지 올랐다.
이은과 일본 왕족 출신 이방자의 결혼식은 1919년 1월 25일로 정해졌다. 같은 해 1월 18일 개막하는 파리강화회의를 겨냥한 것이었다. 일제는 두 사람을 신혼여행차 파리에 보내 세계 열강에 그 모습을 보여주려 했다. 송 씨는 “일본과 조선이 평화롭고 자발적으로 한 나라가 된 것이라고 과시하는 데 이은의 결혼을 이용할 계획이었다”고 설명했다. 일제가 그런 계획을 세운 마당에 고종을 독살함으로써 결혼식을 망칠 이유가 없었다는 것이다. 고종은 1919년 1월 21일 세상을 떴다.
송 씨는 소설가로서의 문장력과 역사전공자로서의 지식을 적절히 결합해 글을 써내려갔다. 송 씨는 “객관적 팩트만으로 커버할 수 없는 부분에 소설적 구성을 가미했다”고 말했다.
금동근 기자 gol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