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시와 일부 정치인이 북한의 포격 도발로 폐허가 된 연평도 마을을 둘러보는 자리에서 “연평도 포격 현장을 ‘평화마을’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격 현장을 원형대로 보존해 안보교육장으로 활용하면 평화의 의미를 극대화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연평도에 남아 몇 차례 마을을 둘러본 취재기자에게는 평화마을 구상이 뜬금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커멓게 불탄 가옥이 여러 채 늘어선 연평중앙로 167번 길은 한 낮에도 지나가기가 꺼려질 정도로 오싹한 느낌이 들었다. 바람이 불 때마다 건물에 겨우 걸쳐 있는 슬레이트와 양철 지붕에서는 쇳소리가 들렸다. 반파된 가옥의 옹벽은 금세 무너질 것처럼 위태롭게 서 있었다.
평화마을 구상을 들은 주민들은 대부분 미간부터 찌푸렸다. 한 주민은 기자에게 “당신 집 앞에 불타고 무너진 폐가 한 채가 평생 서 있다고 생각해 보라”며 “나는 절대로 그런 곳에 살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주민은 “지금은 포격으로 무너진 잔해를 치워도 주민들이 들어올까 말까 하는 상황”이라며 “(현장 보존 얘기는) 정치인들이 이곳에 살지 않으니까 할 수 있는 말”이라고 비판했다.
지금 연평도 주민들은 지칠 대로 지쳐 있다. 인천으로 간 피란민들은 임시주거지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보름 가까이 찜질방에서 ‘난민’ 생활을 하고 있다. 살갑게 지내던 이웃 주민들이 보상 문제를 놓고 언쟁을 벌인 뒤 서먹한 사이가 되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도 들린다. 연평도에 남은 주민들도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가게 문을 연 곳이 한 군데도 없어 돈이 있어도 생필품을 살 수 없다. 유리창을 교체하는 간단한 복구 작업마저 늦어져 주민들은 겨울바다 칼바람을 온몸으로 맞고 있다. 6일 연평도는 한낮인데도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졌다. 바닷바람으로 체감온도는 영하 6, 7도 정도 되는 것 같았다.
이원주 사회부 takeoff@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