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월 한국의 주식시장은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과 미국, 중국, 한국의 경기선행지수 턴어라운드 기대감을 바탕으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당분간은 이러한 견조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 이유는 국내외 경기의 회복 신호가 더욱 확산되고 있는 반면에 경기 회복의 반대급부인 비용변수는 아직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단기적으로는 ‘골디락스 국면’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하루가 다르게 뛰어오르는 각국의 물가 뉴스를 접하면서도 골디락스라고 칭하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한 기업의 원가 부담은 후행적으로 나타난다. 원자재는 일정 부분 재고 물량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금융위기 이후로는 기업들의 원재료 쌓아두기 의지가 약해졌지만 적어도 1, 2분기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의 재고가 존재하기 때문에 당장의 걱정거리는 아닌 것이다.
다음으로 골디락스에 ‘단기적’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밖에 없는 이번 인플레이션의 이면을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경기가 회복되면 수요가 증가해서 공급자들은 수요자에게 가격을 전가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경기 회복 국면에는 수요 증가를 통해 금리, 유가와 같은 대표적인 비용 변수들의 상승 부담을 이겨낼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경기 회복이 막 시작된 초기 국면이어서 비용 전이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선진국의 실업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실업률이 높으면 근로자의 임금 교섭력이 약해지고, 따라서 물가 상승만큼 임금 인상을 할 수 없어 선진국 가계의 실질구매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처럼 인플레이션은 경기와 줄타기를 하는 야누스와 같다. 만약 경기의 회복 속도보다 인플레이션의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면 적당한 온도의 수프는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다. 지금이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즐길 수 있는 최적의 시간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