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과학원 1차 시뮬레이션… 올 부터 범정부 대책 마련
‘백두산 화산 재(再)폭발’에 대비한 범정부 차원의 연구와 환경대책 마련 작업이 올해부터 본격화된다. 지난달 26일 일본 규슈(九州) 기리시마(霧島) 산 신모에(新燃) 봉 분화(噴火)로 항공편 결항 등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백두산 역시 분화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백두산 화산폭발 대비 환경영향 연구’를 2년간 진행할 방침이라고 31일 밝혔다. 이 연구는 백두산 천지가 형성된 1000여 년 전과 같은 폭발 규모(화산재 50km³ 이상 분출)를 가정해 분화 시 △화산재 이동범위 △한반도 대기 질과 기후 변화 △의료 농수산 반도체 항공 등 국가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다.
환경과학원이 이번 연구계획 발표에 앞서 ‘1차 백두산 폭발 시뮬레이션 분석’을 한 결과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화산에서 분출된 황산화물(용암가스와 화산재에 있는 황산입자가 혼합된 물질)이 지상에서 8km 이상 상승한 후 북미와 그린란드 대륙까지 확산된다는 결론이 나왔다. 또 하늘로 올라간 황산화물이 햇빛을 반사해 한반도 등 동아시아 일대 기온이 2개월간 2도가량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송창근 연구관은 “기온이 2도가량 갑자기 떨어지면 농작물이 죽고 전염병이 급증한다”며 “일본 화산보다 훨씬 큰 규모의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도 지난달 27일 “‘화산대응 기획위원회’를 만들어 범정부 차원에서 백두산 화산 폭발에 대비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대형화산 기초연구), 환경부(백두산분화 예측 및 관측), 소방방재청(피해저감 대책 연구) 등 7개 부처별로 역할을 분담해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의 움직임과 달리 ‘백두산 분화’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부산대 윤성효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2002년 이후 백두산 지진 횟수가 잦아진 데 이어 천지 주변의 지형이 매년 약 3mm씩 솟아오르는 등 분화 전조(前兆)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2014년이나 2015년 분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기상청 지진정책과 황의홍 연구관은 “백두산 내 마그마 활동과 지진 횟수가 매년 유동적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화산이 폭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명순 연구원은 “백두산 화산 분화 문제는 중국이나 북한 자료에 의존하고 있어 분화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백두산 분화를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부터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