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는 내부적인 인플레이션 압력 차단과 금리 정상화를 위해 긴축정책을 이어갈 것이다. 하지만 나라마다 정책적 한계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한국은 정부의 물가 관리가 금리 인상을 통해서 진행될 경우 가계가 물가와 금리 상승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정부의 가격통제를 통한 물가 관리도 내수 기업에는 부담 요인이다.
중국은 그동안의 긴축 정책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통제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계속된 지급준비율 인상으로 금융기관의 신용경색 조짐도 있다. 특히 3년 연속 소득에 비해 신용(빚) 증가속도가 더 빨랐다는 점이 중국 경제의 잠재적인 위험요인이다.
만약 국채금리 상승 위험을 아시아가 제거해 준다면 3차 양적 완화 없이 아시아의 인플레이션 압력은 줄어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아시아는 국채 매입을 약속하고 미국은 통화팽창 중단과 재정 개선을 약속해야 한다. 이 같은 강력한 국제공조가 실현될지는 미지수이다. 선진국 통화 정책 및 아시아의 대외 인플레이션 확산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올해 중반을 전후로 확대될 수 있다.
물가불안이 각 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것이다. 일단 채권금리는 물가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금리 상승은 불가피해 보인다. 하지만 명목 및 실질 금리 수준이 낮고, 경기회복에 비해 금리 수준이 높은 상황이 아니어서 주식 및 위험자산에 위협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금리 상승이 이어져도 저금리 기조와 위험자산의 가치상승 구조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고유선 대우증권 경제금융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