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캐스트 화면
네이버가 뉴스캐스트를 도입한지 2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말도 많고 탈도 많다.
언론사의 기사를 받아 편집해 노출하던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지난 2009년 1월 편집권을 언론사에게 되돌려주고 자리만 제공해 주는 방식의 뉴스캐스트를 선보였다.
언론사들이 제공해 주는 기사의 제목이 선정적으로 바뀌는 부분에 대한 염려를 없애고 언론의 순기능을 바로잡는다는 것이 취지였다. 또한 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로 바로 갈 수 있도록 아웃링크까지 도입했다.
하지만 점점 언론사들은 ‘트래픽 마약’에 중독돼 헤어나오지 못했고, 기사의 제목은 내용과 상관없이 ‘섹시, 매끈, 아찔, 탄력, 뒤태’ 등 눈뜨고는 차마볼 수 없는 자극적인 문구들로 변질돼 갔다.
네이버는 ‘옴부즈맨 위원회’를 내세워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했지만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네이버가 뉴스캐스트 도입 전에는 언론사들로부터 제목을 왜 임의로 바꾸냐는 항의를 받았지만 이제는 언론사들에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하며 언론사를 압박하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까지 연출되고 있다.
트위터에 올라온 네티즌 반응 캡처
커뮤니티 사이트의 한 네티즌은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문제점’이라는 제목을 통해 “뉴스캐스트 도입후 함량미달인 기사가 너무 많다. 기사도 아닌 것을 헤드라인으로 올리기도 하고 기사의 기본인 기자 실명제도 없는 것이 허다하다”면서 “듣보잡 언론들의 클릭유도형 광고 기사부터 증거불충분 선동형 칼럼까지 이건 해도해도 너무하다고 느낄 때가 많다”고 밝혀 눈길을 끌기도 했다.
특히 최근에는 ‘시골의사’로 유명한 박경철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원장은 자신의 트위터에 뉴스캐스트에 올라오는 언론사들의 선정적이고 유해한 제목들에 대해 꾸준히 일침을 가하고 있다.
시골의사 박경철 트위터 캡처
‘지존****’는 자신의 트위터에서 “선정적인 기사제목 줄이겠다고 뉴스캐스트에 들어오는 언론사의 수를 늘린 네이버의 안일한 생각으로 되려 자극적인 기사들만 더 늘어났다. 언론사들이 문제인 것은 맞지만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사회적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는 측면에서 (뉴스캐스트를)폐지하는 것은 어떨지”라고 말해 시선을 끌었다.
이에 한 트위터리안도 “포털사이트가 언론의 기능까지 다 가져갈 필요는 없다고 본다. 모든 서비스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 좋지만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면 재고해 볼 필요성도 있는 것 아니냐”고 동조했다.
특히 박경철 원장의 “선정적이고 유해한 사이트로 전락하는 문제가 개선되지 않으면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포털에 대해 사회적으로 강력한 문제제기가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말은 수많은 트위터리안들이 옹호하며 알티(트위터로 전파하는 것)를 날리고 있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김동석 기자 @kimgiza
- 저축은행 부실로 떠오른 ‘예금자보호법’…펀드는 안된다!
- 3월2일 ‘아이패드2’에 ‘아트릭스’까지… 네티즌들 “흥분!”
- 네티즌들 “통큰 모니터 줄서서 산다고? ‘통’크게 당했네!”
- 20cm 파편이 종아리에 박힌 줄 알면서도 완주한 사이클 선수!
- 호주에서 일어난 ‘돌발 홍수’ 영상에 네티즌들 깜짝!
- ‘필름끊긴 한국인들’ 사진만 모은 해외블로그… “황당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