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동 냉이 달래
‘봄동아,/볼이 미어터지도록 너를 먹는다/어쩌면 네 몸 이리 향기로우냐!/오랜만에 팔소매 걷고 밥상 당겨 앉아/밥 한 공기 금세 뚝딱 해치운다만/네가 봄이 눈 똥이 아니었다면/봄길 지나는 그냥 흔한 풀이었다면/와작와작 내게 먹히는 변은 없었을 게 아니냐/…봄의 몸을 받지 못한 나는 구린내만 가득하여/너처럼 당당하지 못하고’
<황상순 ‘봄동아, 봄똥아’에서>
봄동
봄동은 늦가을 찬 서리와 겨우내 눈발을 뒤집어쓴 채 보낸다. 얼었다 녹았다 온몸이 녹작지근 풀어진다. 잎이 옆으로 펑퍼짐하게 벌어진다. 넉장거리로 땅에 바짝 누워 ‘나 잡아먹어라’며 헤프게 웃는다. 속이 꽉 차지 않아 영 볼품이 없다. 그나마 계란 프라이처럼 가운데가 노랗다는 게 다행이랄까.
봄동엔 된서리 한 줌, 함박눈 한 줌, 칼바람 한 줌, 살얼음 한 줌이 각각 들어 있다. 성질이 차서 열 많은 사람들에게 안성맞춤이다. 입에 넣으면 “사각사각! 아삭아삭!” 사과 먹는 소리가 난다. 혀끝이 파르르 떨린다. 새콤하고 풋풋하다. 씹을수록 고소하고 상큼한 향이 새록새록 나온다. 물기가 많고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에도 좋다.
봄동 겉절이의 레시피는 간단하다. 양념장으로 봄동을 살살 버무리기만 하면 된다. 양념장은 참기름, 참깨, 매실액, 멸치액젓, 다진 마늘, 고춧가루 등으로 만든다. 봄동 된장무침은 일단 봄동을 끓는 물에 살짝 데쳐야 한다. 봄동 줄기는 약간 긴 시간, 잎은 조금 짧은 시간 따로따로 데친다. 데친 봄동은 찬물에 한 번 헹군 뒤, 손으로 살짝 물기를 짜낸다. 그 다음엔 깨소금, 된장, 매실액, 대파, 마늘 등의 양념장으로 조물조물 뚝딱 무쳐내면 끝이다. 들큼하고 구수하다. 김 펄펄 나는 밥에 쓱쓱 비벼 먹으면, 온몸의 실핏줄이 달뜬다. 듬뿍 들어 있는 비타민 C와 칼슘은 덤이다.
‘언 땅 뚫고 나온 냉이로/된장 풀어 국 끓인 날/삼동 끝 흙빛 풀어진 국물에는/풋것의 향기가 떠 있는데/모든 것 당신에게 바친다는 냉이의 꽃말에/찬 없이도 환해지는 밥상머리/국그릇에 둘러 피는 냉이의 꽃말은/허기진 지아비 앞에/더 떠서 밀어놓는 한 그릇 국 같아서/국 끓는 저녁마다 봄, 땅심이 선다’ <김승해 ‘냉이의 꽃말’에서>
냉이무침
냉이 뿌리엔 흙냄새가 물씬 스며 있다. 가늘고 긴 뿌리엔 온갖 무기질 냄새가 배어 있다. 흠흠하고 달큰하고 삽삽하다. 냉이는 단백질과 당분은 시금치의 2배, 칼슘은 3배나 된다. 간에 좋다. 술꾼들 속 푸는 데 안성맞춤이다. 된장과 궁합이 딱 맞는다. 된장국에 냉이 몇 뿌리만 넣어도 온 집안에 봄 냄새가 그득하다. 된장 푼 멸치육수에 냉이 몇 줌과 바지락 넣어 뽀글뽀글 끓여내면 속이 시원하다. 냉이는 비타민C도 풍부하다. 쑥이나 달래보다도 많다. 살짝 데친 뒤 소금과 들기름으로 무쳐 먹어도 맛있다.
달래(달룽개)는 ‘작은 마늘(소산·小蒜)’이다. ‘들에서 나는 마늘(야산·野蒜)’이라고도 부른다. 매콤하고 쌉싸래하다. 알큰한 ‘작은 마늘’이다. 달래 먹고 맴맴, 코를 톡 쏜다. 감기로 코가 막혔을 때, 달래를 날로 무쳐 먹으면 콧속이 뻥 뚫린다. 비닐하우스 달래는 맵싸한 맛이 덜하다. 역시 들에서 캔 달래가 최고다.
달래는 논두렁 밭두렁에 많다. 호미나 긴 칼로 캔다. 쑥처럼 뜯지 않는다. 어설프게 뜯다간 줄기가 부러지기 십상이다. 알뿌리는 구경도 못하게 된다. 푸석하게 부푼 달래 주변 흙에 호미나 칼날을 조심스럽게 박아 떠올려야 한다. 하얗고 미끈한 알뿌리가 ‘짠∼’ 하고 나타난다. 젖먹이들 잇몸에 우우 돋는 이 같다. 눈이 부시다. 앙증맞고 예쁘다. 햐아, 한겨울 언 땅에서 어떻게 저런 백옥 같은 알뿌리를 키웠을까.
달래는 비타민C와 칼슘이 많다. 조선양념간장에 넣어 날로 먹는 ‘달래간장’이 으뜸이다. 최고다. 기운 약한 사람은 달래를 먹으면 에너지가 솟는다. 어질어질 빈혈 예방에도 좋다. 두부, 팽이버섯과 함께 바글바글 된장찌개를 끓여도 감칠맛이 난다. 달래는 따뜻하다. 열 많은 사람에겐 안 맞는다. 봄나물은 ‘바로 뜯거나 캐서, 바로 먹어야’ 제 맛이 난다. 봄동이나 달래는 더욱 그렇다.
파릇파릇 새봄이 돋는다. 시나브로 단침이 괸다. 온몸이 달뜬다. 저 들판의 풋것들에게 스르르 무장 해제된다. 그렇다. 어쩔 수 없다. 세상은 혁명을 하건 말건, 오늘은 동무들과 봄나물 안주로 막걸리나 한잔해야겠다.
‘동무들아 오너라 봄맞이 가자/너도나도 바구니 옆에 끼고서/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오자/종다리도 높이 떠 노래 부르네//동무들아 오너라 봄맞이 가자/시냇가에 앉아서 다리도 쉬고/버들피리 만들어 불면서 가자/꾀꼬리도 산에서 노래 부르네’
<김태오 작사, 박태현 작곡 동요 ‘봄맞이 가자’에서>
mar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