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경제발전 가능케 한 ‘기술’은?
제도, 조직운영 등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회적 기술’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교역제도다. ‘소셜 테크노믹스’의 저자는 “해외무역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일종의 사회적 기술로 간주된다”고 설명한다. 수출을 위해 항구에 선적 대기 중인 차량. 동아일보DB
시기나 지역이 다르지만 질문의 성격은 같은 것이다. 경제발전이란 무엇이며 발전의 격차는 왜 생기는가 하는 의문이다. 이런 질문에 어떤 견해를 갖고 있는가에 따라 우리나라가 앞으로 해야 할 과제나 처방도 달라질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사회적 기술이란 개념을 소개한다. 생산성은 두 가지 기술로 좌우되는데, 하나는 자연을 변화시키는 물리적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제도나 조직 운영과 같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회적 기술이다.
오늘날에는 사유재산제도, 법치, 투명성, 반부패 같은 것들이 대표적인 사회적 기술이다. 이런 사회적 기술이 경제활동을 촉진시키고 효율성을 높이며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사회적 기술이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바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했다. 87개국을 대상으로 경제성장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사회적 기술이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선진국과 후진국에서 동시에 나타났다는 것이다.
특히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선진국으로 진행할수록 사회적 기술은 물리적 기술보다 더 중요해지고 성장에 더 탄력적이라고 한다. 이는 후진국의 성장속도가 빨라져 선진국을 따라잡는다는 수렴가설이 일반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부패 법치 투명성 같은 사회적 기술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선 그룹 안에서만 후진국이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가 이 책에서 반부패 법치 투명성을 강조하는 데는 경제학자로서 그의 흔치 않은 경력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일치감치 경실련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한 데 이어 공정거래위원장으로 경제 현장을 나름대로 경험했다.
박영균 논설위원 parkyk@donga.com
■ 송재용의 스마트경영
세계적 기업의 사례로 풀어본 경영전략의 정수
송재용 지음
352쪽·1만5000원·21세기북스
서울대 경영대 교수인 저자는 최근 세계 경영 현장의 특성을 지식기반 경제, 네트워크 경제, 글로벌 초경쟁, 그린 이코노미 경제 등 근본적인 패러다임들이 동시에 진행되는 상황으로 파악한다. 이에 따라 2010년대는 경쟁 규칙이나 브랜드, 기술력, 디자인,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 역량과 같은 무형 자산 위주의 경쟁으로 변화하고 승자 독식 현상도 심화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불확실성이 커져 가는 경영환경 극복에 필요한 경영 전략의 정수(精髓)를 한국 및 세계 기업 사례를 통해 상세하게 풀어놓는다.
또 다른 핵심어는 ‘패러독스 경영’이다. 차별화와 낮은 원가, 창조적 혁신과 효율성, 글로벌 통합과 현지화, 규모의 경제와 빠른 속도 등 양립이 불가능해 보이는 요소들을 동시에 달성하는 경영이다. 도요타자동차와 삼성전자는 순차적이기는 해도 원가 경쟁력을 확보한 뒤 차별화를 확보해 패러독스 경영을 달성한 기업으로 평가한다.
이 밖에도 책은 △네트워크 기반 전략과 스마트 비즈니스 △컨버전스 △개방과 소통 △그린과 지속가능 경영 등을 핵심어로 제시한다.
허진석 기자 jameshu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