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용 e버스 운행중단싸고 논란일자 뜻모아…양측 광역 맞춤버스-증차 등 대안 놓고 협의
○ e버스가 뭐기에
e버스는 지난해 10월 말 한 벤처기업이 시작한 교통서비스다. 우선 인터넷을 통해 회원을 모집한다. 회원들은 집과 직장 주소, 출근시간 같은 정보를 입력한다. 특정 지역에 적정 인원이 모이면 출근시간대에 전세버스를 배차한다. 회원들은 1개월 교통비로 9만9000원을 결제하고 지정좌석에서 편하게 앉아 출근할 수 있다. 일종의 버스 공동구매인 셈. e버스는 인터넷을 통해 모든 과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인터넷 통근버스’로도 불린다.
e버스에 대한 소문은 삽시간에 퍼졌다. 무엇보다 혼잡버스 문제가 심각한 경기 성남·용인시 주민의 호응이 뜨거웠다. 11월 초 용인시 수지구 일대에서 무료 시범운행이 시작된 지 3개월 만에 회원이 5000명을 넘었다. 올 1월에는 정식 운행을 시작했다. 많게는 하루 6대가 승객을 실어 날랐다. 그러나 손님을 빼앗긴 기존 버스업체들의 민원이 제기되자 국토해양부는 ‘전세버스로 불특정 다수를 모집해 시내버스 형태로 운행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유권해석을 내렸다. 이어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이 단속에 나서려고 하자 전세버스를 빌려주던 회사들이 하나둘 빠지면서 결국 e버스는 중단됐다.
○ 콩나물버스 사라질까
e버스 논란이 거세지자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그동안 혼잡버스 해결에 미온적이던 서울시는 지난달 초 경기도에 ‘광역 맞춤버스’ 노선 신설을 제안했다. 대상은 성남시 분당신도시와 용인시 4개 노선으로 출퇴근시간대에만 운행하는 버스다.
그러나 경기도는 서울시 제안이 혼잡버스를 해결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의견이다. 경기도에 따르면 1월 현재 경기와 서울을 오가는 출근시간대 광역버스 156개 노선 가운데 108개 노선(69.2%)의 차내혼잡률이 130% 이상이다. 차내혼잡률은 정원 대비 승객 비율을 일컫는다. 특히 고양∼서울역 노선과 수원∼사당역 노선은 차내혼잡률이 190% 이상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관련 시군과 잇달아 회의를 열어 혼잡률이 높은 고양 남양주 성남 용인시 등지에서 서울로 가는 버스 노선의 증차를 요구하고 있다. 또 성남시는 3월부터 일부 버스 노선의 출발지를 고속도로가 가까운 도심 외곽 지역으로 변경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서울 출근 버스의 혼잡문제를 놓고 그동안 지자체 간 의견 차이가 컸다”며 “생색내기 식으로 일부 지역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문제가 큰 지역 모두를 대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